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중국편 3 : 실크로드의 오아시스 도시 - 불타는 사막에 피어난 꽃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지음 / 창비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답사

현장에 가서 직접 보고 조사함.

표준국어대사전


유홍준 교수의 답사팀이 타클라마칸 사막의 오아시스 도시에 닿았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실크로드 편의 마지막 여정이다. 시안에서 출발한 답사기는 1권과 2권에서 실크로드의 동부 구간인 하서주랑, 돈황 명사산을 다뤘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중국편3에서는 ‘실크로드의 진수’라 할 만한 타클라마칸 사막 구간을 다룬다.


‘실크로드’라는 단어는 신비한 느낌을 자아낸다. 미지의 세계가 숨겨져 있을 것 같은 기분이랄까. 내가 가진 사막의 실크로드의 역사 지식 또한 미지의 영역이다. 실크로드라고 하면 다들 떠올리는 낙타를 타고 가는 대상들의 이미지만 떠오른다. 대상들이 들렀던 사막의 도시 모습은 어떠했을까. 동서무역의 수혜를 입어 풍요로웠지만 문명이 충돌하는 지역이므로 전란을 상흔을 피하기는 어려웠을 듯했다. 유홍준 교수의 답사기는 적절한 역사 해설과 현재 모습에 대한 충실한 묘사로 나의 호기심을 해소해줬다.


저자는 답사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책의 여러 지점에서 언급한다. 역사는 유적․유물과 함께 기억해야 하므로 역사 순서로 답사해야하며 그러려면 역사를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때문에 이번 오아시스 도시 답사를 위해선 ‘위구르’ 역사를 알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교수는 답사는 유람도 여행도 아니며 세상을 새롭게 인식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한다.


역사는 유적․유물과 함께 기억할 때 이미지가 선명하게 그려지기 때문에 한 지역의 답사는 역사 순서로 진행하는 것이 요령이다. p.74


어느 답사나 마찬가지이지만 중국 답사에서 가장 필수적인 것은 유적지에 대한 설명보다도 그곳의 역사를 아는 것이다. p.100


사실 위구르 역사에 대한 이해는 투르판뿐 아니라 신강성 답사 전체의 필수 사항이다. p.146


“답사가 그냥 만고강산 유람하는 여행인 줄 아니? 자료를 조사하고 세상을 새롭게 인식한다는 점에서는 ‘답사학’이에요.” p.319


책은 저자의 생각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답사의 구간마다 필요한 역사 지식을 풀어낸다. 책의 초입에 답사를 떠나는 지역의 전반적인 역사를 개관한 것은 물론이다. 뉴스에서 듣게되는 신장위구르 지역이 이번 실크로드 답사 지역이다. 저자는 한자어를 그대로 읽어 ‘신강’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이 지역은 오래 전부터 ‘초원의 길’이라는 이름으로 무역로 개척이 시작되었고 사막을 통과하는 길과 곤륜산맥 북쪽의 ‘실크로드 남로’가 개척됐다. 길을 따라 오아시스 도시들이 형성됐고 중국의 혼란기인 1세기에서 6세기까지 번영했다. 15세기 대항해 시대 ‘바다의 길’이 열리면서 쇠락할 때까지 ‘오아시스의 길’의 동서를 잇는 교역로의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답사팀은 서역이라 불리는 이 지역에서 가장 번영했던 6개 지역 중 역사적 의미를 찾기 어려워진 카라샤르를 제외한 5개 지역을 답사했다. 누란, 투르판, 쿠차, 호탄, 카슈가르다. 여기에 이 모든 도시를 품은 타클라마칸사막 답사를 포함했다.


유홍준 교수의 답사에서 놀라웠던 것은 그의 팀 구성이었다. 다른 답사기에서도 이렇게 호화로운 구성으로 팀을 꾸렸던 건지 해외답사이기 때문에 특별히 힘을 준 것인지 모르겠다. 답사팀에는 화가, 건축소장, 스님, 치과의사 겸 극작가, 미술사학과 교수, 토건회사 임원, 지리학자에 고고학자까지 포함돼 있었다. 어떤 문명을 바라보는 총천연색의 시각을 구비한 답사팀이다. 화가와 미술사학과 교수가 해설하는 미학적 의미를 듣고 건축전문가가 본 유적지의 구조 분석을 들을 수 있다. 치과의사는 미이라의 치아상태를 보고 사자의 역사를 말해주며 지리학자는 문명이 앉아 있는 자리를 형태에 대해 설명해준다. 고고학자의 해설이 유용함은 말할 것도 없을 텐데 그 사람이 무려 강인욱 교수다. 현재 중앙아시아와 유라시아 고고학에 대해 이보다 더 잘 알려줄 사람이 있을까. 답사의 드림팀이다. 책에는 이러한 전문가들이 말하는 유적지 해설이 담겨있다. 예를 하나 들어보면 투르판의 교하고성 관아터 규모에 대해 건축사무소 민현식 소장은 이렇게 풀이한다.


"인간적인 분위기를 생각했다기보다 아마도 실용적 내지 기능적인 고려가 이런 공간을 낳은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 현대 건축에서는 인간 감각과 신체조건의 한계에 바탕을 둔 휴먼 스케일(human scale)에 대해 열심히 연구해서 이런 결론을 얻어냈지만 이 건물을 설계한 분은 아마 체험적으로, 또는 인간의 생래적 감각으로 이처럼 인간적인 공간을 만들어냈으리라 생각됩니다.“ p.88


타클라마칸 사막 한가운데 도시 투르판에서 우리나라 역사의 한 조각을 만날 수 있었다. 아스타나 고분군에 고구려 유민의 후예가 묻혀 있었다. 묘지명으로 밝혀진 바에 따르면 ‘고요’라는 이름의 장군이라고 한다. 당나라에 멸망한 고구려의 주민들이 이렇게 먼 땅까지 강제 이주를 당한 것이다. 그리고 그 지역에서 이름을 떨치는 무장이 되었다. 1930년대 소련에 의한 고려인 강제 이주가 떠올랐다. 강제 이주의 역사적 배경은 다르지만 둘 모두 힘없는 민족의 설움이다.


그런데 이 고요 장군은 고구려 유민의 후예라는 사실이 우리에게 아픈 역사를 떠올리게 한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중국편 제1권 천수 맥적산 답사 때 황하 서쪽 지역을 얘기하면서 잠깐 언급했듯이 당나라는 고구려를 멸망시키고는 이듬해인 669년 고구려 지배층을 중심으로 28,200호(약 20만 명)을 중국 땅 산시성 위쪽 오르도시 지역과 감숙성 농(隴) 땅으로 집단 이주시켰고, 평양에는 노인과 어린이만 남았다고 한다(『구당서(舊唐書)』). pp.135-136


오아시스 도시의 역사를 국내에서 만날 수 있다는 정보도 이 책에서 얻은 수확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중앙아시아실에 누르판과 누란에서 출토된 유물이 전시되고 있다. 이 유물들은 대체 어떻게 우리나라에 오게 된 걸까. 알고 보니 일제에 의한 것이었다. 크게 마음먹지 않고는 가기 어려운 사막여행을 하지 않고도 희귀한 유물을 마주할 수 있다니 중앙박물관의 문이 다시 열리는 대로 가볼 일이다.


한편, 스타인이 떠나고 4년째 도는 1911년 일본 오타니 탐험대의 다치바나 즈이초(橘瑞超)가 타클라마칸사막을 헤매던 중 누란 지역에 와서 현지 ‘유물 사냥꾼’들에게 구입해서 가져왔을 유물들이 지금 서울의 국립중앙박물관 중앙아시아실에 전시되어 있다. p.43


저자는 이번 답사 중 가장 인상적인 도시로 쿠차를 꼽았다. 산업화에 밀려 유적의 존재가 가려진 다른 도시와 비교된다는 이유다. 덕분에 쿠차는 천혜의 자연과 함께 유적지의 매력이 잘 드러나는 도시가 됐다고 한다. 쿠차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서운한 얘기겠지만 과거의 모습을 찾는 방문자의 입장에서는 고대의 모습을 간직한 도시의 현대화가 너무 빠르진 않았으면 싶은 마음이다.


그러나 이렇게 산업화되지 않고 더디게 도시화되었다는 것은 오히려 역사도시 쿠차의 엄청난 강점이자 매력이다. … 말이 된다면 ‘순박함 속에 들어 있는 화려함’이라고 하겠다. 이 점 때문에 나는 쿠차를 타림분지에서 가장 매력적인 도시로 꼽으며,…p.178


과거의 모습을 잃은 도시라고 해서 답사에서 소홀히 다룰 수는 없다는 저자 덕에 ‘호탄’과 ‘누란’에 대해 들을 수 있었다. ‘누란’은 도시가 쇠퇴한 이후 접근로가 사라져 답사가 어려웠다. ‘호탄’의 경우는 대부분의 유적이 옛날의 모습을 잃었거나 일반에 공개되지 않고 있었다. 저자는 ‘듣는’ 답사로 우리에게 ‘누란’과 ‘호탄’의 역사를 소개한다.


그렇다면 호탄 답사는 그냥 지나가도 그만인가. 답사는 그럴 수 있지만 답사기는 그럴 수 없다. 아무리 폐허가 되었다지만 호탄에는 그 이름값이 있다.

‘보는 호탄’이 아니라 ‘듣는 호탄’이다. p.339


책에 실린 유물 사진 중 신기한 형태의 호탄옥이 있다. 호탄 지역의 옥이 유명하다고 한다. 그런데 배추모양으로 다듬은 옥과 형태와 빛깔이 돼지고기 덩어리를 꼭 닮은 것이 있었다. 중국 사람들은 이것들을 박물관에 전시해서 관람객이 줄을 선다고 한다. 옥을 좋아하는 중국인들의 기호를 알게 되기도 했고 문화의 다양성을 다시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됐다.


그중에서 호탄옥은 옥 중의 옥으로 좁은 의미로는 호탄 지역에서 생산된 옥을 지칭하지만 최고 양질의 옥을 가리키는 말로 옥의 대표성 또한 갖고 있다. p.364


책은 오아시스 도시의 불교 유적이 어떻게 발견되고 유물이 세계 각지로 흩어지게 됐는지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가 가득하다. 읽는 것만으로 한 바탕 사막 바람을 맞고 온 듯 현장감이 있다. 나오는 대로 베스트셀러에 오른 시리즈의 저력을 알 수 있었다. 저자의 다음 답사는 본격적인 중국 답사라는데, 답사팀 말석에라도 끼어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