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어하우스
베스 올리리 지음, 문은실 옮김 / 살림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제목 「The Flatshare」는 번역본 제목「셰어하우스」에 비해 방을 나눠쓴다는 뉘앙스가 강하다. 집과 방은 그 크기에서 느껴지는 것과 같이 나눠쓰는 불편함도 다를 것이다. 집을 나눈다면 그 집에 있는 여러 개의 방을 나누는 것일텐데 방을 나눈다는 것은 말 그대로 잠자리를 나누는 것이다. 현재 사회적 개념이 어디까지인지 모르겠으나 방 하나를 나눠쓰는 일은 대개 동성간의 문제이리라 예상된다. 소설은 그 지점을 노렸다.

티피는 방금 전 거부 남친의 집에서 쫒겨난 참이다. 모아놓은 돈과 은행의 부채를 합쳐 남친에 대한 부채를 갚고 나자 빈털터리다. 물가 비싸기로 소문난 런던에서 직장을 유지하면서 한 몸 누일 장소를 찾고 있지만 여의치 않다. 다 쓰러져가는 곰팡이 충만한 공간을 둘러보다 지친 그녀는 친구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셰어하우스’에서 타인과 동거하는 쪽을 선택한다. 주중 야간근무에 주말엔 집을 비운다는 ‘남자’ 간호사의 집 아니 방이다.

소설은 거주지가 절박한 여자 티피와 변호사 비용이 급한 리언의 시점이 번갈아 가며 진행된다. 한 방을 둘이 시간을 나눠 사용하다면서 필요해진 소통의 창구로 메모를 활용하는데 책에는 그 둘이 나누는 메모 내용이 서사의 묘미를 담당한다. 등장 인물들이 직접 만나지 않은 상태에서 편지 등을 통해 소통하는 형식에는 독특한 재미가 있다. 편지와 편지 사이에 글로 적지 못한 등장인물들의 심리가 표현되기 때문이다. 독자는 알지만 편지에 쓰지 못한 사연들을 아는 재미는 그래서 두 주인공이 만난 이후에는 반감된다. 이 소설의 작가 베스 올리리는 구성상의 이런 약점을 리언의 동생이 얽힌 재판 과정의 조마조마함과 전 남친 저스틴을 이용해 현명하게 해결했다.

설정에서 예상되다시피 책의 줄거리는 서로 상처와 문제가 있는 남녀가 만나 우여곡절을 거쳐 해피엔딩에 이르는 로맨스 소설의 서사를 따른다. 내게「셰어하우스」의 흥미로운 지점은 티피와 리언의 연애보다 티피와 그녀의 전 남친 저스틴의 이야기다. 소설의 시작 부분에서 티피는 키가 몹시 큰 소심녀로 등장한다. 만남과 헤어짐을 반복하긴 했지만 결국엔 자신에게 돌아올 거라 믿었던 저스틴의 변심에 패닉에 빠져 있다. 티피가 ‘셰어하우스’에서 혼자의 삶에 적응할 무렵 저스틴이 다시 나타난다. 다른 여자와 나타나 자신의 집에서 나가라고 외쳤던 저스틴이다. 진저리를 칠만한 상황임에도 티피는 저스틴의 의도에 순응하는 행동을 한다. 자신이 왜 그러는지도 화가 나면서도 마음 속엔 공포가 있다.

 

 

저자는 저스틴과 티피의 관계에 ‘가스라이팅’이라는 심리 현상을 심어놓았다. 가스라이팅은 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교묘하게 조작해 그 사람이 스스로 의심하게 만듦으로써 타인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는 행위다. 심리 조정자에게 자신도 알지 못하는 사이에 휘둘리게 되는 것이다. 저스틴의 어떤 행동들이 티피에게 가스라이팅으로 작용한 걸까. 그 지점들을 찾아보는 것도 이 소설을 읽는 또 하나의 재미요소가 될 것이다. 티피는 마음 깊이 박혀있는 저스틴의 그늘을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까. 불안정한 심리 상태로 리언과의 관계는 순조롭게 이어갈 수 있을까.

 

 

 

로맨틱 코메디로만 읽기엔 아까운 소설이다. 타인의 의도에서 벗어나 자신의 길을 찾아가는 과정의 지난함과 용기에 더 눈을 두고 읽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주변의 지지가 얼마나 큰 힘이 되는 지에도 관심을 갖기를 권하고 싶다. 이런 자신의 용기와 주변의 도움없이는 소설 마지막에 등장하는 빛나는 티피는 없었을 것이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