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의 진심 - 언어의 마음을 알려주는 40가지 심리학
최정우 지음 / 밀리언서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의 진심

언어의 마음을 알려주는 40가지 심리학

: 최정우

출판사: 밀리언서재

 

우리는 사회에서 살아가면서 다양한 집단생활을 경험한다. 그 과정에서 여러 사람을 만나 접촉하게 된다. 어떤 목적이 되었던 내 앞에 있는 상대방에 대해서 알기 위해서 여러 가지 시도를 한다. 그중에서 상대방이 어떠한 언어를 사용하는지 눈여겨본다. 여기서 언어는 외국어가 아니다. 예를 들면, 그가 쓰는 단어, 뉘앙스, 표정을 포함한 모든 것을 나는 언어의 일종이라고 본다.

우리가 살아온 인생의 경험 때문에 언어는 같은 한국어를 쓰더라도 상당히 다르다. 그래서 지역마다 사투리도 생기는 것 아닌가? 언어가 자신을 정의한다고 말할 수도 있을 정도니, 우리의 생각과 사고, 심리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겠는가? 그래서 심리학에서는 언어 행동 분석 (analysis and behavior of language)’가 있고 언어를 통해서 사람의 심리를 파악한다.

말하자면 상대방의 언어 습관을 통해서 그가 느끼는 현재의 감정을 추측할 수 있다. 이것은 단순히 상대방을 언어로 파악한다는 단순한 의미만이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상대방의 언어를 통해서 그의 심리뿐만 아니라 의도, 배경까지도 분석함으로써 어떨 때는 비즈니스를 위한 목적으로 혹은 상대방의 상황을 이해함으로써 따듯한 위로를 줄 수도 있다고 본다.

이 책의 앞부분에서 나온 글에 특히 공감했는데, 평소 내가 생각한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자신의 처지를 남과 비교하며 괴로워하는 사람들을 주변에서 자주 발견할 수 있다. 자신과 남을 비교하는 것은 끊임없는 갈망을 낳을 뿐이며 어떠한 긍정적인 발전도 이끌 수 없다고 본다. 그래서 나는 후배들에게도 가끔 이야기한다. 어제보다 나은 자신만을 비교해라. 남과 비교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가끔 대화하다가 보면, 상대방이 자신의 마음이나 상황을 나 역시 당연히 알고 있다는 전제에서 말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쌍둥이조차도 상대방과 무엇인가 공동의 관심사를 가지고 시간을 오래 같이하지 않는다면, 상대방의 마음을 전부 다 알 수는 없다. 따라서, 상대방이 내 상황에 대해서 온전히 알 수 없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가 내 상황을 알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고 본다. 조금 직접적으로 이야기를 한다면 어떨까? 그러면 조금 오해는 풀리지 않을지 모르겠다.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문제가 생겼을 때 남 탓을 하는 사람을 많이 본다. 나는 잘했지만, 상대방이 일을 허술하게 했다고 탓한다. 하지만 이러한 생각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는다. 상대방의 관점에서 어떤 애로사항이 있을지, 그래서 나와 함께 서로 이야기를 해서 문제를 같이 풀 수 있을지 배려심을 가진다면 대화는 훨씬 수월하게 이뤄질 것이다.

사회에서 대화하다 보면, 상대방에게 말할 기회를 주지 않고 혼자서만 떠드는 사람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람들의 심리는 무엇 때문일까? 저자는 자아도취가 심한 사람이거나, 공감 능력이 부족한 것이라고 말한다. 우리가 누군가와 대화한다는 것은 혼자서만 일방적으로 이야기를 한 것이 아니다.

생각해보면 우리가 대화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대방과 공감하기 위한 것이라고 본다. 상대방이 쓰는 언어와 표현을 통해서 그 사람을 알아가는 것도 어쩌면 상대방의 심리와 의도를 파악해서 공감 능력을 높이기 위한 것은 아닐까? 이 책을 읽으면서 나의 언어와 대화법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