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인간적인 미래
윤송이 지음 / 웨일북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장 인간적인 미래

공별의 시대에서 공존의 시대로,

인간과 인공지능의 새로운 질서를 말하다

: 윤송이 외

출판사: 웨일북스 출판일; 2022111

 

SK텔레콤를 거쳐 엔씨소프트에서 이하고 있는 윤송이가 미국의 여러 인공지능 관련 학자들과 대담한 내용을 정리한 책이다. 윤송이에 대해서 그다지 잘 알지 못해서, 인터넷에서 검색해보니, 흥미로운 기사를 발견했다. 한겨례 신문이 윤송이와 서면 인터뷰한 내용을 실은 기사인데 게임 속 남녀 영웅 차별보면서 개발자 윤리필요성 절감했죠라는 기사였다.

굳이 정보통신기술 업계에서 일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급격한 기술 발전이 SF소설에서나 이뤄질 것으로 생각한 일들을 실현시키고 있다는 것은 안다. 아마도 우리에게 각인된 이미지는 첫째, 컴퓨터가 결코 우위를 차지할 수 없다고 생각한 바둑에서 인간이 졌다는 사실이다. 프로기사 이세돌은 인공지능과 5번 대결을 펼쳤지만, 4번 졌다. 아마도 그가 기록한 1승은 인간이 인공지능에 이긴 마지막 사례가 될 것이다. 두 번째, ChatGPT이다.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의 놀라운 성능은 그야말로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급격한 발전은 우리가 생각하지도 못한 이슈들을 만들고 있다. 의례 정보통신기술에 대해서 생각하면 그것은 말 그대로 기술적인 발전을 뜻한다. 말하자면, 거기에는 어떤 가치가 개입될 여지가 없었다는 것이다. 기술자는 효율적이며 목표로 한 목적을 제대로 구현하기만 하면 되었다. 그렇지만 우리는 발전된 인공지능을 접하면 우려하기 시작했다.

인터넷은 사람들의 편향(bias)을 더욱더 강하게 만든다. 오늘날 미국이라든지 한국 사회이든지 정치적 진영논리가 강화된 것은 인터넷의 역할이 컸다. , 상대방의 목소리는 듣지 않고, 자신의 진영에서만 나온 정보와 뉴스를 접하면서 결국 편향은 더욱 강해지고 극단적으로 변하는 것이다. 우리는 인터넷을 통한 연결성으로 인한 이익만을 이야기하지만, 아마도 대표적인 악영향을 말하자면 이것일 것이다. 물론, 이외에도 인터넷으로 인한 또 다른 문제점은 사람들의 사고능력을 파괴했다는 것도 있지만, 여기에서 주제와는 멀기 때문에 생략한다.

어쨌든 중요한 것은 인공지능이 우리가 본래 요구했던 것과는 달리 이러한 편견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인공지능을 통한 가상 캐릭터가 사람들과 소통하면서 인종차별을 공공연하게 언급한 사례를 알고 있다. 제작사는 서둘러 서비스를 중단했지만, 이러한 이슈는 우리가 우려를 했던 상황들을 일깨운다. 인공지능은 1984빅 브라더가 되는 것은 아닌가?

윤송이가 5명의 학자와 대담한 내용을 정리해서 출간한 이 책은 그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출간되었다. 급격한 기술 발전에 비해서 가치관의 변화는 이를 따라가지는 못한다. 무엇보다도 인공지능이 개발된 후에 이러한 단점을 시정하기에는 너무 늦는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단순한 기술 발전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윤리적 가치관에 대한 인식이 필요함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미 미국의 대학에서는 이러한 학계 간 교류를 통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지식의 발전은 이전과 같은 르네상스형 인간을 사라지게 했다. 학문의 세분화와 고립화는 심해서, 같은 현상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 일면 전문가라 하는 사람들은 어려운 용어와 개념을 차용해서 자신들의 일을 포장한다. 최재천 교수가 이야기했던 통섭이 생각났다. 그것은 환원주의적 사고가 아니라, 한 주제에 대한 넓은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라면, 그래서 우리가 어떠한 통찰력을 얻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어떨까?

우리 일상생활은 이미 이전과는 많이 변했고, 새로운 기술은 너무나 다양해서 나와 같이 이를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는 사람들은 금방 구식이 되어버린다. 하지만, 메타버스, 플랫폼 경제, 가상화, 인공지능, 데이터 과학 등 수많은 기술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삶은 현실에 기반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화려한 기술 속에서 정작 그 기반이 되는 것들을 우리는 외면한다. 말하자면, 제조업과 농업과 같은 현실경제의 기반이 되는 산업과 우리는 현실의 삶을 살아간다는 것이다. 그러한 점을 잊지 않는다면, 미래를 비관적으로만 전망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그러한 작업이 소위 이야기를 하는 전문가라는 사람들의 손에만 쥐어져 있으면 안 된다. 당신은 미래를 보다 주도적으로 살아갈 것이라고 믿는다.

 

한겨례 기사 (https://www.hani.co.kr/arti/economy/it/1072606.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