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을 넘지 않는 사람이 성공한다 - 안전거리와 디테일이 행복한 삶의 열쇠다
장샤오헝 지음, 정은지 옮김 / 미디어숲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을 넘지 않는 사람이 성공한다

안전거리와 디테일이 행복한 삶의 열쇠다

저: 장샤오힝 역: 정은지

출판사: 미디어숲 출판일: 2022년6월10일 


자기개발에 대한 이야기는 넘치고 넘친다. 서점에는 별도로 자개개발 코너가 있는데, 여러가지 성공비법을 이야기한다. 직장에서 성공하는 방법,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방법,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있는 사람이 되는 방법 등등. 그 주제는 매우 넓은 편이고 그 내용은 매우 구체적인 편이다. 사회의 경쟁이 치열하지만 우리는 인생을 살아가는 통찰력을 쉽게 얻지 못한다. 그래서 그것을 책을 통해서 해소하려는 욕구가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이런 자개개발 관련 서적에 대해서 매우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개인적인 삶의 경험을 일반화할 수 없다고. 결국 스스로 깨우치고 방법을 찾아야 된다고 조언한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그 길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는 조언을 해줄 수 있는 것은 아닌지 반문한다. 사실 누군가 내 생각을 물어본다면 어떨까? 아마 통찰력을 얻을 수도 아닐 수도 있다는 애매한 답을 하지 않을까? 사람마다 그러한 종류의 책을 읽고서 느끼는 바는 저마다 다를 것이다. 


나이가 들어가면 훈수를 두거나 쓸데없는 조언을 이야기하고 싶은 것 같다. 그렇지만 이전 시대와 같이 기성세대의 그 어떤 경험이라는 것이 젊은 세대에게는 고루한 이야기에 불과한 경우가 많다. 물론 그 이야기가 아예 쓸데없다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는 그 이야기를 정말로 듣고 싶은 사람이 누구인지 분간할 수 없다. 사람들은 서로가 서로에게 깊은 이야기를 더 이상 하지 않는 시대가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제는 자신이 스스로 필요한 것을 찾는 시대, 조언이란 그렇게 변한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사회생활에서의 대인관계에 대해서 생각해봤다. 능력이라든지 통찰력이라든지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실 인간관계처럼 우리를 피곤하게 하는 것은 없다. 나는 농담으로 우리 삶의 모든 것은 사실 영업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좀 건조하게 말한다면 말이다. 이 책은 적당한 거리감을 이야기한다. 그 적당한 거리감은 성숙함을 나타내고 높은 사회성을 나타낸다고도 한다. 


사실 선을 넘지 않는다는 것, 그것은 친구, 직장동료, 직장상사, 하물며 연인관계부터 가족까지 다 포함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상대방이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라는 구조에서 통용되는 관념을 같이 공유한다고 가정한다. 인지하든 인지하지 않든 그러한 어떤 긴장관계는 반드시 우리 내면에 침잠되어 있다. 사실 그것을 다른 말로 좀 순화한다면 그건 아마도 ‘겸손’이라고 말해도 되지 않을까? 


이 책에서 소개된 이야기가 전부 맞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여기서 일관되게 이야기하는 것, 그것을 바꿔서 겸손이라고 한다면 어느 정도는 이해될 만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한번쯤 읽어봐도 괜찮을 것 같다. 읽으면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볼 수 있을 것이다. 어쨌든 나 역시도 적절한 선을 지키는 관계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