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름 돋는 수학의 재미 : 하편 - 공부 욕심이 두 배로 생기는 발칙한 수학 이야기 소름 돋는 수학의 재미
천융밍 지음, 리우스위엔 그림, 김지혜 옮김 / 미디어숲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부 욕심이 두 배로 생기는 발칙한 수학 이야기

소름 돋는 수학의 재미 (하)

저: 천융밍 그림: 리우스위엔 

역: 김지혜

출판사: 미디어숲 출판일: 2022년 2월20일 


수학에 대한 관심을 버린 것이 언제였을까? 아마도 고등학교를 진학하고서 얼마되지 않았던 시기였던 것은 맞는 것 같지만. 어차피 원래부터 인문계열로 진학을 하고자 했으니까, 수학에 대해서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았다. 대학에 들어가고,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내가 사용하는 수학이라는 것은 솔직하게 말해서 초등학교에서 배우는 사칙연산의 범주를 넘지를 못했다. 


그렇지만 오랜 시간이 흘러서 문득 수학이라는 것이 내 머리를 아프게 하는 골치거리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최근에 읽었던 미적분 관련 책을 읽어보더라도 업무에 흔하게 쓰고 있는 업무에 수학이 얼마나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지를 알게 되었다. 암호처럼 보이는 수많은 수학공식은 여전히 내 머리를 아프게 하지만, 어린 시절과 같이 않게 인내심을 가지고 친절한 설명을 따라가다 보면 원리를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분야는 함수, 확률, 조합과 마방진, 집합과 논리이다. 그냥 듣기만 해도 머리가 지근거리는 것 같다. 그러나 조금 인내심을 가진다면 그리고 조금 수학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그렇게 어렵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책에서 소개된 다양한 문제들을 마주하면서, 문득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다양한 수학자들이 탐구했던 분야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생각해보면, 수학은 일종의 언어가 아닐까 싶었다. 어쩌면 진정으로 ‘세계 언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수학일 것이고 세상을 해석하고 읽는 것도 이를 통해서 가능할 것이다. 우리가 물리학에서 천재 과학자들이 제시한 수많은 공식을 접한다. 물론 그것을 실생활에서 직접적으로 활용해서 문제를 풀 일은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러한 수학 공식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과학법칙이 오늘날 우리의 삶을 얼마나 풍요롭게 하는가?


솔직하게 말해서, 이 책을 수학을 멀리했던 일반인이 접한다면 어렵다고 느끼질 것 같았다. 나 역시도 책을 읽는 동안에 그러한 생각을 여러 번 했다. 물론 지금 수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라면 다를 것이다. 아마도 저자들의 의도대로 그들의 지적 호기심을 일깨워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어쩌면 나처럼 학창시절에 이미 수학에 대한 관심을 버린 안타까운 실수를 하지 않을 기회도 얻을 것 같다. 


시간이 된다면, 조금 여유와 인내심을 가지고 수학에 대한 책을 찾아 읽어 보기를 추천한다. 이 책도 나름대로 좋은 책이며, 다른 어떤 책이라도 상관없을 것 같다. 모르면 그냥 페이지를 넘겨도 된다. 중요한 것은 수학을 통해서 어떻게 사고하는 연습을 지속하는 것은 아닐까? 그러한 가운데 어쩌면 우리는 중요한 통찰력을 얻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