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하늘 아래 노란 꽃
류진운 지음, 김재영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 비슷한 느낌-

 

펄벅의 <대지>: <대지>처럼 대지에 얽혀 사는 중국인의 삶이 리얼하게 그려져 있다.

그러나 <대지>보다 훨씬 원색적이고 다색적인 인물들이 난무한다.

박경리의 <토지>: <토지>처럼 토속적인 내음이 강하다. 그러나 <토지>보다 훨씬더 해학적이다.

 

* ? 중국 소설인가!

 

1900년대 중국 역사 속에 어우러진 중국 민초들의 생활이 서사적으로 묘사되어 있어

중국 문화, 중국인, 중국인의 해학, 중국인의 가치관을

인물과 스토리 속에서

솜에 물이 젖듯 자연스럽게 이해할 있다.

 

한국인과도 틀리고

일본인과도 틀린,

"중국인"만의 대륙적 기질을

여과없는 비속어들과 함께 맛볼 있다.

 

* 일본 소설과 다른 점?

 

감각적이고 도시적이고 괴짜스러운 느낌이 강한게

표피적인 견지에서의 일본 소설이라면

보다 정통적인 스토리 라인을 가지고 회화적이며

밑바닥까지 시니컬하게 적나라한

바로 "중국 소설" 읽는 묘미.

 

능청스럽고 대범하며 선악의 가치관이 혼돈

일견 "이기주의적" 인물들이("개인주의적" 느낌이 일본 소설이라 )

얽히고 설키며 음모와 반전의 양념 속에 어우러진게 중국 소설.

 

한마디로

음모와 반전의 양념이 버무려진 맛깔스런 토속 김치 맛이 중국 소설.

 

요리된 개성적인 "컵라면"맛이 일본 소설. 가볍지만 맛있고 개성적인 맛이 일본 소설.

 

* 이 소설을 동물에 비유하자면?

 

능글맞은 웃음을 짓는,

속을 없는 "너구리"

 

* 이 소설을 계절에 비유하자면?

혹독하게 눈보라치는,

눈이 하얗게 덮인, 시골 경치 속의 겨울 .

눈속에 숨어 있는 원래 색깔은 눈을 치우지 않는 결코 길이 없다.

겉으로는 평온한 정경이다.

 

* 나라면 이 소설 속 세계의 한 인물이고 싶다?

 

소설속 세계는 편안한 동굴이 아니라 "밀림"이다.

겉보기엔 아무 걱정없이 굴러 가는 평화로운 농촌./

그러나 그건 남들에게 보이는 형식적인 겉모양일 .

개인 인물들의 속은 각자의 욕심과 계산으로 똘똘 뭉쳐 어디에서 어떤 불협화음이 벌어질 없다.

 

나라면 이런 {에서 결코 적응하고 살기 힘들 같다.

초탈하거나 휘어잡거나 아주 영악하거나.. 그게 아니면

범에 잡아 먹히는 마리 배고픈 양이 되는 세상.

 

그런 세상이지만

모두들 그러려니 하고 수긍하고 해학으로 넘기는

밀림의 초원같은 세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