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O
오츠이치 지음, 김수현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 엄청 재미있어.

 

일본 작가의 단편인집인데 장르는 미스터리, 환타지, 공포, SF, 추리, 때론 엽기까지.

그런데 그 색깔을 말하자면 공포영화라기보다는 공포미스테리 환타지 만화같은 느낌이라고나 할까?

혹시 이토 준이치의 공포 만화를 본 적 있어?

그것과 느낌이 비슷하지만.. 음.. 공포만을 다루고 있진 않아.

 

이 소설들 중에서 보면 

아주 치밀한 플롯을 가지고 있어서 그 스타일이 "명탐정 코난"같은 분위기를 풍기는 추리물도 있고 ,

하이잭을 다룬 심리 모험 단편도 있고

미래 로봇이 주인공인 SF 단편도 있어.

 

중요한 건 그 어떤 단편도 정형화되어 있지 않다는 거야.

기존에 알고 있던 어떤 스타일과도 꼭맞은 블럭을 가지지 않은거 같아.

이거 공포인가 싶으면 추리고, 추리인가 싶으면 심리스릴러이고, 심리 스릴러인가 싶으면 환타지이고...

장르가 고정되어 있지 않는거지.

 

원래 사람이란게 어떤 책을 보면 "음! 이책은 이런 장르고 아마도 이런 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겠구나.."라는 기대치가 있잖아.

사실 그 기대치때문에 소설이 지루해지는 면도 있고.

 

그런데 이 작품들은 중간까지 읽어도 다음을 짐작할 수가 없어.

그래서 한번 쥐면 손에서 놓기가 힘들어져버려.

사실 이렇게 몰입도가 높은 일본 소설은 최근에 처음 읽어봤어.

 

 

음... 이 소설들을 좀 더 난도질해볼까?

 

난 개인적으로 이 소설들에서 가장 뛰어난 점은 작가의 상상력이라고 생각해.

둘째는 단편 추리소설에서 볼 수 있었던 아귀 맞추기-독자 속이기-정말 잘 만든 점.

(그게 말이지.. 결과를 알고 나서 그 소설을 다시 처음부터 읽어보면 아! 하고 외마디 외침을 소리없이 지를 정도거든)

 

 

셋째는 이 소설들을 통해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에 대한 거야.

 

사실 이점은 나도 고민이 많이 되긴 해.

재미있다. 치밀하다. 글솜씨가 좋다. 상상력이 정말 발군이다. 이야기 진행이 유연하다. 결말이 공감이 간다...

많은 수식어를 정당하게 붙일 수 있는데 말이지.. 이소설들에..

 

근데.. 작가가 정말로 하고자 했던 바는 무엇이었을까?

독자에게 재미를 준다. 그것으로 끝!이라고 하기엔

이 소설들은 그냥 단순한 대중 소설의 느낌이라고 하기엔 공중에 붕~ 뜬 듯한 느낌이 있거든.

 

특히 로봇이 죽음에 대해 "감정"을 가지게 되는 단편 소설같은 경우엔 말이지.

정말 가슴이 짠~했어. 독백이나 대사들도 얼마나 마음을 후비던지!

하이잭을 다룬 단편같은 경우도 사실 결말이 일반 공포모험소설의 결말이라고 하기엔 너무 정도에서 벗어나 있거든.

(근데 그러면서도 주인공의 행동과 마음에 어쩐지 동화되어버리고 마는 거 있지)

 

한마디로! 작가는 독자의 감정을 가지고 놀 줄 아는 사람이야.

그것은 공포, 죄책감, 미움, 소외감. 공감.위안, 용서 등등 모든 보편적인 감정들을

마치 물결치는 파도위를 유연하게 운전하는 보더처럼 자유자재로 운전하는.. 그런거지.

 

바다의 생리와 파도의 움직임에 정통한 자가 아니라면 물위에서 놀 수 없겠지.

마찬가지고 그 역시 자기 스스로 수많은 감정의 질곡과 인생의 갈등을 경험한 사람이 아닌가 해.

그러니까 그렇게 공감이 가고 심도가 느껴지는 "감정의 절절함"까지 표현할 수 있는 거겠지.

 

쌍둥이들의 얘기나 죽은 애인을 찾아 헤메는 남자의 얘기, 그리고 우연히 7개의 방에 갖히게 된 남매 얘기를 봐도

"인간끼리의 소통"이나 "자기 내면과의 다툼"에 관한, "깜짝 놀랄 만큼" 밀착도가 높은 심리 묘사들이 등장하거든.

 

:그 심리 묘사의 형식이 치밀한 플롯에 의해 계획된것이든, 소박한 형태를 띠고 있건 간에..

전체적인 대중 소설의 느낌 속에 작은 포션으로 등장하는 그런 작가적 "감정의 포착"이:

그냥 공포환타지로 끝날 수도 있었을 , 그냥 재미있는 소설을

"좀더 공감이 가고 가슴을 저미게 하는" 그런 "깜짝 단편"(오헨리의 단편이 보통 그렇쟎아)으로 업그레이드 시킨 것 같아.

사실 "양보다 질"이잖아? 마치 평온함 속의 스파크가 인상적이듯이 말이야.

 

뭐 과도한 칭찬인가?..

사실 이 작가의 소설을 처음 읽어본 나로서는 작가에게 감탄을 하고 있지만

여러권을 접하게 된다면 나중엔 나도 작가의 성향을 깨닫고 소설의 결말을 짐작하게 될런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음. 이 한권 속에서조차도

단편들은 한작가의 작품이라고 볼 수 없을 만큼 다양한 형식과 내용과 전개 방식을 가지고 있어.

작가가 재능이 참 많은 사람이라는건 인정해야 할 것 같아.

 

 아! 나도 언젠가는 저런 글을 쓰고 싶다.

(가끔 등장하는 너무 끔찍한 부분들은 제외하고 말이지)

 

참!

이 책의 독자는 특히!

올여름 피서를 가면서 가져갈 한권의 책!에 고민하고 있을 남녀라면 더 좋겠어.

참기름처럼 술술 읽히거든.

단편이라 짧게 짧게 끝나는 것도 좋구 말이지.

 

 

참! 그리고 표지와 내부 디자인도 참 마음에 들어.

음침하지만 고급스러운 분위기. 뭔가 일어날 듯한 그런 분위기를 잘 표현한 것 같아.

아니.. 이건 내가 요즘 무채색과 은색을 좋아해서 일런지도...

 

 

재미있게 읽고나서 아무말 않고 있다가

딴 사람이 이걸 다 읽고 나서 어떤 반응을 보일지를 기대해보는 것도 좋을거야.

만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몰두. 또 몰두할지도.

(눈에 보이는 영상으로 진행되거든..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