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 세대, 그 갈등과 조화의 미학
송호근 지음 / 삼성경제연구소 / 200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 한국 사회는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몸살을 앓고 있다. 머나먼 타국에 갔을 때 시차 적응이 안되서 겪어야 하는 몸살 비슷한 무기력증과 미열이 전 한국 사회를 뒤덮고 있다. 우리는 이미 우리 주변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통하여 우리를 엄습한 이 변화의 물결이 예사롭지 않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 변화는 항상 고통을 동반하는 법이다. 어떤 이들에게는 의례적인 이 고통이 너무 가혹하게 느껴지게 마련이다. 이런 사람들이 많이 모이게 되면 그들은 광기어린 군중으로 돌변하게 된다.

요즘 인터넷을 보면 이런 광기어린 군중들이 이 사이트, 저 사이트를 헤집고 다니며 뒤틀린 심사를 토해 놓은 흔적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역사를 조금 공부해 본 사람이라면 이들이 필요로 하는 것이 희생양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얄팍한 정치가들은 이런 희생양을 만드는데 익숙하다. 이것은 특종을 찾는 기자들에게는 희소식이 되겠지만 진정으로 국가를 염려하는 사람들에게는 쓴웃음을 짓게 만드는 촌극일 따름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말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바로 이런 사람들이 대세를 장악하도록 놓아두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이것을 방치하면 우매한 군중은 잘못된 편견에 사로잡히게 된다. 우리가 그토록 비판하는 3김 정치가 그 대표적인 예가 아니던가?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사실에 대한 객관적이고도 냉철한 분석이 필요하다. 송호근의 <한국,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는 우리가 합리적이고 공정한 기준을 세우기 위해 필요한 실효성 있는 분석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저자의 한국 사회 분석에서 핵심이 되는 단어는 '세대(generation)'이다. 확실히 2002 대선의 이슈는 세대의 충돌이었다. 수구 세대인 5060세대와 신세대인 2030세대의 충돌이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그 충돌에서 2030세대가 지지한 노무현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는 점에서 2002 대선은 여느 대선과는 다른 독특한 의미를 가질 수 밖에 없다. 5060세대는 그들이 거부하던 변화를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했고 심한 박탈감과 소외감을 느낄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문제는 자질면에서 떨어지는 조중동의 썩은 펜들이 이것을 부채질했다는 것에 있다. 그들은 한국은 거대한 세대 충돌의 와중에 빠질 수 밖에 없다고 사태를 호도했다.

저자인 송호근 교수는 신뢰성 있는 통계 자료를 근거로 5060세대가 변화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음을 명확하게 보여줌으로써 세대 충돌론이라는 편견에 제동을 건다. 2030세대의 저항을 5060세대가 수용하고 속도는 느리지만 양 세대가 유사한 방향으로 여행을 시작했음을 갈파한다. 두 세대가 갈등한 것도 사실이지만 상당한 시간 동안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기 시작했음을 객관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그리고 '생활 세계'라는 공유된 공간을 통하여 통합되고 있다고 결론 내리고 있다.

기본적으로 자신의 사적 생활 세계를 공적인 것보다는 중시하는 2030세대와 국가가 강요하는 공적인 의무때문에 희생됐던 사적인 생활 세계를 깨달은 5060세대 사이에는 거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는 저자의 통찰은 매우 설득력이 있다. 지금 우리 사회에 가장 필요한 것은 이러한 통합적 시각이 아닐까? 사회 통합으로 가는 길목에서 우리가 극복해야 할 것은 너무나 많다. 이런 상황에서 저자의 냉철한 분석은 반드시 우리가 습득하고 넘어가야 할 필수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