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 퍼키스의 사진강의 노트 - 사진과 삶에 관한 단상
필립 퍼키스 지음, 박태희 옮김 / 눈빛 / 200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1

어제 겔러리 뤼미에르에서 프랑스 사진작가 전시회를 보고 왔다.

브레송, 외젠 앗제, 드와노, 윌리 호니 등 유명 작가들의 작품들을 감상하면서, 이 책, 필립 퍼키스의 사진강의 노트가 다시 생각났다.

 

2

얼마전부터 사진에 관심이 생긴 동생이 있다.

사진에 입문할 때, 사진을 배울 때 가장 도움이 될만한 책은 뭘까?

맨 처음 권할 책이 바로 이 책이라고 단언하진 않겠다. 다만,

입문할 때부터 사서 오랫동안 두고 볼 책이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아니, 그렇게 보아야 할 책이라고 말하고 싶다.

 

3.

이 책은 사진의 본질에 접근하도록 이끌어 준다.

입문서에 흔하게 등장하는 광각렌즈와 망원렌즈의 차이 예시 같은 것들은 없다.

하지만,  성급하게 문화적 의미나 상징을 담으려 하지 말고 일단 빛을 관찰하라는ㅡ 바로 어제도 다시 생각난 주옥같은 가르침들이 가득 담겨있다.

그 오랜기간 사진을 가르친 사람이 그 정수를 전달하려면, 어떤 형태가 될까 생각해 본다.

"사진학 강의" 처럼 엄청 두꺼운 책들이 되거나, 이 책처럼 얇은 잠언집의 형태가 되지 않을까 싶다.

문학으로 비유하자면, 장편소설이 되거나 혹은 응결된 시집이 되거나.

이 책은 시집에 가까운 형태이다. 얇다고 금방금방 넘어갈 수 있는 내용이 아니다.

거기에 응축된 가르침들은 두꺼운 책 못지 않다. 장편과는 다른, 시집만의 강점이 고스란히 들어있다.

아마도 여기에 있는 많은 말들은 

머리 속에 정보의 형태로 남는다기 보다는, 문장 자체가 가슴에 들어와 오래도록 박혀있지 않을까 싶다.

 

 4.

 디카가 널리 보급되면서 사진관련 서적들도 쏟아져 나오고 있다.

기술적인 내용을 다루는 책들, 사진 작가의 포토에세이, 사진집, 평론집 등등.

그러나 필립 퍼키스의 책 같은 종류는 결코 흔하지 않다. 교과서도, 수필집도, 작품집도 아닌 잠언집 말이다.

무엇부터 볼까 고민하는 사람, '교과서'에 만족하지 못한 사람, 사진에 권태기가 온 사람 등 모두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