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주석의 한국의 美 특강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필독서라면 대략 시험에는 나올 것 같지만 재미는 없는 책 정도로 생각되지만,

이 책은 그렇지 않다. 미국에 번역되어 소개될만하고, 그랬다는 게 자랑스러워질 정도의 책이다.

이 책을 이제서야 읽게 되다니ㅡㅜ   (다 읽고 나서 바로 "옛그림 읽기의 즐거움1" 주문했다)

-------------------------------------------------------------------------------------------------------

나름대로 미술을 좋아한다 했었어도, 지금까지 보아온 것들은 절대다수가 서양의 것이었다.

우리 그림은 박물관이나 갤러리에서 보아도 그냥저냥 스쳐갈 뿐이었다. 부끄러운 얘기지만 진정 감탄해본 기억이 거의 없다.

서양 미술사를 읽다보면 20세기 이후(추상미술 이후)가 되면 좀 재미가 없다. 손보다 머리를 더 많이 쓰는 느낌이랄까.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 것에 참으로 감탄하였고 서양미술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세계를 접하게 되었다. 도판을 보며 오주석 선생님의 강의를 들으면, "세계 최고의 호랑이 그림", "세계 최정상급 인물화"라는 표현이 허풍으로 들리지 않는다.

처음으로 감탄한 것은 김홍도의 <무동>이다. 이런 , 전혀 본 적이 없다. 선으로 가장 기억에 남았던 것은 마티스가 선으로만 그린 그림들이었는데, 김홍도의 이 선들은 완전히 다른 세계다. 서양의 붓과 기법으로 이처럼 무동을 그려낼 수 있을까?

그림 하나하나를 말하자면 너무 길다. 느낀 점을 세 가지만 말해보련다.

1. 그림에서 느껴지는 .

다른 것들도 많지만,

<이재초상>을 보라. 200여년의 시간을 넘어 온몸으로 전해져 오는 저 기운.

이런 어른 앞에서는 자연히 무릎꿇고 앉게 될 것 같다. 요즘 시대에 이런 분을 만나보지 못했다. 도판을 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다가오는 그림이라니.

표지그림으로도 나온 <송하맹호도>. 저릿저릿 느껴지는 범의 "포스". 이것에 비하면 일본냄새 풀풀나는 아무개 화백의 호랑이는 고양이에 불과하다. (이 김홍도라는 사람은 어찌 이렇게 여러 종류의 그림을 다 잘 할 수 있는지 불가사의하다.)

2. 형상화의 방식 : 구상 속의 추상.

그 그림이 그냥 그 모양을 재현하기 위한 게 아니다. 저자의 말대로 '寫眞'이기 때문이다. 나는 사진을 좋아하지만 이 '사진'에 대한 말씀은 깊이 느껴지는 바가 있었다.

또한 구체물 속에 숨어 있는 깊은 뜻, 그것은 단지 상징이라는 말로는 부족하다. <일월오봉병>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이재 초상>의 옷깃 하나에도 추상이 춤을 춘다. 단지 '다른 무언가를 가리키는 것'으로서의 상징을 훨씬 뛰어넘는 깊은 뜻과 세계가 거기 있다. 17세기 네덜란드 정물화는 극사실주의와 상징으로 가득하지만, 이렇게 특정 빛에 의한 명암을 배제하면서도 인물의 옷깃 하나하나에까지 추상이 살아 숨쉬지는 않았었다. 

정선의 <금강전도>를 보면서 음양오행을 같이 음미할 수 있다면, 얼마나 달라보일 것인가. <주상관매도>같은 표현 방식은 어떤 서양회화에서도 본 적이 없다. <마상청앵도>를 보면,  진행과 멈춤, 모든 것이 잠시 정지한 듯 하면서도 거기서 울려나오는 선비의 단정하고 담백한 정신세계가 어찌 그리 잘 표현되었는지.

 

3. 지금, 우리 것은 어디에 있는가.

그의 강의를 듣다가, 문득 우리나라 지폐들를 꺼내보았다. 갑자기 그렇게 조잡스러워 보일 수가 없었다. 전혀 포스가 느껴지질 않는다. 그냥 이이, 이황 선생이 쪼그라진 할아버지 같다 - _-;

김아무개 화백에 대한 이야기를 듣자하니 참으로 어이가 없었고, 예술에 미친 일본의 영향에 대해 무지했던 것이 부끄러웠다. 이렇게 훌륭한 우리 것이 지금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지, 이어지고는 있는지 주시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어쨌든, 이 책 강력 추천이다. 빌려보지 말고, 돈주고 사보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