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리아스 - 희랍어 원전 번역
호메로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단국대학교출판부 / 2001년 3월
평점 :
절판


이 작품을 읽는 가장 좋은 방법은 원어로 낭송하는 것일 게다. 묵독하는 것과 낭독하는 것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고전희랍어는 넘 어려워ㅜ.ㅡ 그래도 이렇게 원전번역이 나와서 참 좋다. 많은 작품을 원전번역 하시는 천병희씨의 노고는 길이 남을 것이다.

내용으로 말하자면, 보통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과 좀 다른 면이 있다. 이를테면 이 작품에 트로이의 목마 이야기는 나오지 않는다! 위에 어느 분은 그 부분이 재미있었다고 하는데 아마도 이 책이 아니라 어린이용으로 편집된 책일 것이다. 파리스의 심판이야기도 안나온다. 심지어는 파리스가 헬레네를 빼앗아 오는 장면도 없다! (파리스가 작중에서 '알렉산드로스'라고 불리는 점도 재미있다)

실제로 이 작품은 아가멤논이 브리세이즈를 빼앗았다고 아킬레스가 화를 벌컥내는 장면에서 시작하여 트로이의 영웅 헥토르의 장례식을 하는 장면에서 끝난다. 약10년간의 전쟁기간 중에 이 작품이 다루는 것은 대략 50일 정도이다. 거기서 이래저래 빼면 실제로 자세히 다루는 것은 며칠 안된다. 그럼 그 며칠 안되는 기간을 채우는 것은 뭔가? 이래저래 전승되어 오던 영웅적인 전사들의 전투이야기, 싸우기 전에 서로 Ÿ슭箏遊?족보이야기("나는 누구의 아들인데, 우리 아버지로 말할 것 같으면 누구의 아들이고 어쩌고 저쩌고..."), 실제 전투장면(창을 던졌더니 방패를 뚫고 내장에 닿았다느니, 골을 바수웠다느니...) 등이다.

사람들이 영화에서 본 것과 상당히 다른 점들도 있다. 이를테면 헥토르가 그렇게 멋지게만 나오지는 않는다. 싸우다 무서워서 도망가고 그런다-_-a 뭐, 자기가 죽으면 안되니까 그렇다고는 해도. 그리고 신들이 정말 뻔질나게 개입한다. 사람들 싸우는 틈에 끼어서 서로들 싸운다. 심지어 아프로디테는 피 흘리면서 도망간다;;

이 모든 일의 발단은 뭔가? 파리스가 헬레네를 훔쳐 왔다는데, 실제로는 다른 정치적인 이유가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었다. 그러나 그런 거 발견하지 못했다. 왜냐하면 서로들 오래 싸우다가 지쳐서 트로이측에서 막대한 보상금과 헬레네를 주면 돌아가기로 합의봤었기 때문이다ㅡㅡ; 영토확장이 목적이었으면 그랬을 리가 없잖은가. 이런 외적인 사건보다도, 그 이면에서 갈등을 이끄는 요인은 다름다닌 hybris이다('오만불손함'으로 번역되었다). 원래 자기 한계를 넘어서는 것을 의미한다. 신들조차 자기 영역이 있고 이것을 넘어서면 안된다. 이 작품에서 예를 들자면 아프로디테가 사랑과 결혼이라는 자기 영역을 넘어 전장에 왔을 때, 상처를 입게 되는 것이다. 전쟁의 신 아레스에 의해서 말이다. (그녀가 울면서 아빠에게 뛰어오자 제우스는 그녀에게 '넌 네 일이나  잘 하려무나. 전장에 얼쩡대니깐 그러잖아.' 그런다ㅡㅡ;;) 아가멤논이 아킬레스의 정당한 권리를 침해하지 않았다면 이 작품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전투, 즉 아킬레스 없이 양진영이 싸우는 부분이 줄었을 것이고 일리아스도 훨씬 얇아졌을 것이다.

뭐 내게는 그렇게 읽혀졌다. 오만불손과 관계된 표현에 주의하면서 읽는 것도 좋을 것 같다. 휘브리스 어쩌고 해도 -이 작품의 범위를 벗어나긴 하지만- 사실 그 이전에 갈등을 일으키는 원인은 파리스의 심판이었다. 헤라와 아테네가 끝까지 그리스편을 들어서 복수하려는 게 그런 이유다...자꾸 길어지니 이정도로 하련다.

나가면서 한 가지 아쉬웠던 점은, 인물들이 좀 평면적이다보니 전쟁물이라고는 해도 삼국지같은 정략, 전략과 갈등 같은 게 부족하다는 점이다. 물론 단순비교는 곤란하겠지만.   어쨌든 고전에 시간을 투자하면 손해보지 않는다. 고전의 힘 중 하나는 (생각)꺼리를 풍부하게 던져주는 풍요로움이다. 개인적으로는 이 글을 읽으면서 니체 저작에 나왔던 내용들을 상기하게 되었다(니체는 원래 고전문헌학자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