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과 고전부 시리즈
요네자와 호노부 지음, 권영주 옮김 / 엘릭시르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헐 이게 뭐야 재미있겠다.

고전부 시리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옥에 가기로 한 메르타 할머니 메르타 할머니 시리즈
카타리나 잉겔만 순드베리 지음, 정장진 옮김 / 열린책들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암묵적으로 무기력이 강요되는 요양원에 질린 노인들이 스스로 무언가를 계획하며 신나게 일을 벌이는 모습에서 통쾌함과 짜릿함을 느꼈습니다. 노령의 나이를 무색하게 만드는 노인들의 천진난만함과 사건 중에 드러나는 감정들에 공감이 많이 되네요. 재미있게 읽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편의 아름다움 - 스물아홉 번의 탱고로 쓴 허구의 에세이
앤 카슨 지음, 민승남 옮김 / 한겨레출판 / 2016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 읽는 책들을 다 읽고 나면, 아니 그보다 먼저도 읽고 싶은 책. 부정한 사랑과 그 모든 것을 상쇄시키는 아름다움, 사랑하는 이들의 주종적 관계라... 곱씹을 수록 흥미로운 내용이다. 현재 내가 갈망하고 헤매이며 추구하고 있는 것과 어느 정도 닿아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에 여러모로 궁금한 책.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소 2016-01-19 09: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00자로는 담지 못한 기대평
지금 읽는 책들을 다 읽고 나면, 아니 그보다 먼저도 읽고 싶은 책.
부정한 사랑과 그 모든 것을 상쇄시키는 아름다움이라... 사랑하는 이들의 주종적 관계라... 곱씹을 수록 흥미로운 내용이다. 또한 내가 현재 내가 갈망하고 헤매이며 추구하고 있는 것과 어느 정도 닿아있을지 모른다. 존 키츠의 시에서 영감을 받아 써내려 간 이야기라는데, 또 탱고의 열정을 어떻게 서사에 녹아냈는지도 궁금하다. 여러모로 궁금한 책이다. 『빨강의 자서전』도 궁금하고 읽고 싶어지게 만든 책이니까 이 책을 먼저 읽고 싶다.


#내 마음을 이끈 책 소개 구절
부정한 사랑과 그 모든 것을 상쇄시키는 `아름다움`, 그리고 사랑하는 이들의 주종적 관계에 대한 가슴 저릿한 탐구이다.
- 책 소개 중에서
 
스타타이드 라이징 1
데이비드 브린 지음, 최용준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12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한국에서 새 책으로 만날 수 있다니. 감동. 연말 선물로 받고 싶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가들이 사는 동네 1
공살루 M. 타바리스 지음, 엄지영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폴 발레리, 이탈로 칼비노, 로베르트 발저, 칼 크라우스, 앙드레 브르통, 베르톨트 브레히트, 로베르토 후아로스, 앙리 미쇼, 에마누엘 스베덴보리, T.S. 엘리엇. 이 열 명의 작가가 한 동네에 산다면?!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이 한 동네에 모여 살면 어떨까?' 이런 상상을 나도 해 본 적이 있는데, 누구나 한 번쯤 생각해 봤을 만한 상상을 포르투갈의 작가 공살루 타바리스가 열 편의 이야기로 만들어냈다. 이름만 들어도 '우와'할 만한 작가들이 한곳으로 이사 와서 하나의 <동네>를 이룬다는 이야기는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흥미롭다. 사유와 사유가 만나 새로운 것들이 창조되는 아름다운 동네이다. 작가의 말에서 타바리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동네>는 일종의 유토피아다. <동네>는 특정한 지리적 조건과 시간에 속하지 않은 공간이다. 이 <동네>에 사는 인물들의 이름은 많은 작가와 예술가 들에게 바치는경의의 표시로 택한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모두 꾸며 낸 인물일 뿐이다.

타바리스의 현실적 상상력으로 만들어진 이 동네. 집을 나와 거닐다 마주친 누군가와 눈인사를 하기도 하고, 잠시 멈춰 담소를 나누기도 하고 싶어진다.


이 책은 내용 뿐만 아니라 형식도 흥미롭다. 각기 다른 형식으로 열 명의 작가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발레리 씨와 논리>, <브르통 씨와 인터뷰>, <스베덴보리 씨와 기하학 연구>, <엘리엇 씨와 강연> 등으로 구성되다. 작가의 말을 빌리자면 '제일 먼저 발레리 씨의 이야기가 나왔고, 앙리 씨의 이야기가 그다음에 나왔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이를 <동네>시리즈로 내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이런 형식의 글을 뭐라 해야할까. 일관성 있으면서도 다양한 형식이 공존하는 글의 집합체. 한 동네에 사는 이 작가들의 이야기는 각기 다른 10개의 이야기이면서도 한 편의 이야기가 된다. 각 장의 형식은 내용을 음미하는 데에 더욱 도움을 준다. 10장 모두 각각의 재미를 가지고 있고 설득력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스베덴보리 씨와 기하학 연구>가 재미있었다. 1. 2. 3. …과 같이 순서를 매긴 텍스트를 보자니 학부생 때 들었던 기호논리 수업들이 생각나기도 하고, 텍스트 뿐 아니라 낙서 같은 작은 일러스트들이 마치 진짜 스베덴보리가 썼던 메모지를 보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 좋았다. 물론 다른 이야기들도 개성적이어서 전부 재미있기는 하지만 개인마다 느끼는 바가 다를테니 개인적으로 가장 좋았던 장에 대해서만 얘기하기로 한다.


『작가들이 사는 동네』는 소장할 가치가 있다. 문득 문득 꺼내 읽기 좋은 책이다. 읽기에 재미도 있을 뿐더러 특히 이 글을 쓸 때 작가가 그리는 전체적인 그림이, 그 시각이 참 재미있다. 처음에는 따로 따로 편집된 글이지만 글을 써나갈수록 이 <동네>에 사는 주민들 사이의 연관성이 더 분명하게 드러났다고 한다. 신기한 일이다. 읽다 보면 주민들의 스타일이 드러나는데, 여기서 스타일이란 글을 쓰는 형식 뿐만 아니라 포괄적이고 일상적인 생활 전반을 의미한다. 이처럼 미시적이면서 거시적인 시각을 동시에 담아냈다는 점이 글을 읽는 사람에게 흥미를 불러 일으킨다. 글을 쓰는 작가의 말에서 타바리스는 이 책을 한 번에 주욱 읽지 말고 잠시 쉬어 가기를 권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뛰어난 인물들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차분히 생각할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는 타바리스의 말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나 역시 충분히 시간을 가지고 천천히 그들과 한 동네 공기를 마셔 보기를 권한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또는 그 후에도 여전히 거장들과 함께 사유하며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책의 마지막에 실린 잠재 문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역자 해설을 읽는 것 또한 재미있다. 물질적인 책으로 보아도 두 권 짜리 양장본에 심지어 겉표지, 속표지 모두 예쁘다. 표지 디자인을 지도처럼 그렸는데 제목과 내용을 사랑스럽게 담아냈다. 살짝 보라빛 도는 분홍색과 연두같은 민트색의 조화도 좋다. 이 책은 정말이지 처음부터 끝까지 재미있다. 이런 책이 또 어디 있을까. 이 책이 나온 데에 대하여 감사할 정도다.


이 책이 많은 독자들에게 읽히기를 희망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작가들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읽기 전부터 기대감을 가지며 흥미롭게 읽을 것이고 설령 다 알지 못하더라도 한 사람 한 사람 알아가는 것 또한 하나의 재미 요소이다. 다 읽은 후에는 이 <동네> 주민들에 대해 더 궁금해질 것이고, 그들의 작품들을 찾아 읽게 될지도 모른다. 거장들과 대화하며, 질문하고 답을 찾는 사유 행위를 통해 보다 풍성한 삶을 경험한다면 이 얼마나 큰 행복인가! 부디 많은 분들이 이 두 권의 '완소' 책을 만나 보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