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명화를 보는 눈
다카시나 슈지 지음, 신미원 옮김 / 눌와 / 200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일본의 곰브리치라는 다카시나 슈지 아저씨가 쭈욱 훑어주는 서양미술사. 르네상스 시대부터 최근의 추상미술까지 서른 명 가까이 되는 유명 화가들을 만나볼 수 있다. 화가별로 아주 짧은 브리핑 수준이지만, 그 화가의 대표적인 컨셉을 콕콕 잘 짚어주고 있고, 역사적 맥락에서 전체적인 흐름을 편한 기분으로 따라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화가들마다 대표작을 하나씩 선정해서 페이지 전체에 보여주며 시작한다. 이 그림을 지긋이 바라보고 있다가 필이 올 때 본문을 읽기 시작하면 된다. 그림을 요모조모 설명해주기도 하고, 생각해 볼 거리를 던져 주기도 한다. 부분부분 확대해서 미처 보지 못했던 곳까지 설명해주기도 하고. 이야기하는 패턴이 반복되어 좀 지루할 때도 있지만, 그럴 땐 잠시 책을 덮어놓고 tv를 본다든가 딴짓을 하다가 다시 읽으면 된다. 이런 책이 좋은 점은 다른 책과 섞어 읽기가 가능하다는 것. 삘이 안 올 땐 잠시 접어둬도 되고, 삘이 좀 강하게 오는 화가를 만나면 며칠은 그 챕터에 할애하면서 그림을 보고 또 봐도 좋겠다.

 한 번은 완독하자라는 미션을 수행하였으니.. 앞으로도 책꽂이 가장 손 가기 좋은 곳에 두고, 생각나는 그림 한 편씩 다시 들춰보련다.

 이 책을 읽다 보니, 학교 다니며 들었던 <서양미술의 이해>라는 수업이 생각나는데, 아무래도 나는 그 수업이 좋았나 보다. 쯧쯧, 깊이 있게 파는 것보다는 쉬리릭 훑어보는 걸 더 좋아하는 게야. 아무튼! 이번에 새롭게 발견한 매력 작가는, 침묵어린 빛을 잘 덮어낸 얀 베르메르, 뻔뻔쟁이 몽환의 작가 앙리 루소. 아, 램브란트의 플로라 시리즈의 변천사나 아버지 눈치를 보느라 이중생활을 했던 세잔의 뒷얘기도 인상적이었다. 왠지 모를 상투적 느낌에 눈여겨 보지 않았던 마르크 샤갈도 새롭게 보였다. <나와 마을>은 정말 멋지다.

역시. 두고두고 다시 보면서 소화해야 할 책. 다 먹고 나서 가지를 친다. 벌써 배부른 느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질리스크 코우가인법첩 1
야마다 후타로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4년 11월
평점 :
절판


아주 오랜만에 만화책을 봤다.

사무라이, 닌자, 그런 류의 컨셉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고, 평소에 대략 코믹 말랑말랑한 만화를 즐기는 나지만, 가끔 이런 심하게 터프하고 잔혹하고 비장하기까지 한 만화를 보고 나면 극장에서 걸작 영화를 보고 나온 것처럼 찌리릿한 느낌이 드는 것이 즐겁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후계자를 정하는 일에 마치 장기말처럼 동원되는 닌자들. 수백년 간 숙적이었던 두 닌자 가문의 부전약정이 후계자 선정이라는 일종의 게임에 단지 '결과'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인해 풀리게 되는데, 그로 인해 두 가문의 역사가 급격히 뒤바뀌고, 로미오와 줄리엣 같은 두 주인공을 중심으로 모두 함께 몰락해 간다. 스토리는 특정 인물에게 집중된다기보다는 한 명 한 명 죽어 나가는 과정에 맞춰져 있다. 마치 레벨별로 풀어나가는 게임 같은 느낌이 짙다. 역사적 사실에 살짝 걸쳐 있기는 하지만, 그 자체는 별로 중요하지 않고, 시대극이라는 설정은 단지 인물들의 캐릭터가 지니는 정형성에 정당성을 부여할 뿐이다. 닌자들의 인법이라는 것이 마치 초능력 같고(다시 말하면 이성적인 사람이 보기에는 짜증날 정도로 비현실적일 수 있다는), 등장인물들의 캐릭터가 기괴하기 때문에 누구나의 입맛에 맞을 수는 없겠지만, 일본 만화를 어느 정도 접해 봤고, 하드고어적인 묘사에 책을 덮어버리는 사람만 아니라면 추천해줄만하다. '베르세르크'의 끝간 데 없는 절망보다는 훨씬 소프트하고, 5권으로 끝나기 때문에 지루하지 않다. 짧기 때문에 인물들의 개성이 좀 약한 느낌이 들고, 스토리도 남은 인물이 적어질수록 좀 허전해지는 것 같지만, 주말 오후 간식 타임용으로 딱 좋은 길이다. 중간중간 깜짝 놀랐던 부분들이 있는데, 그게 잔인한 묘사 때문이 아니라 기 막힌 타이밍의 장면 전환 때문이라는 점이 흥미로웠다. 원작을 만화화한 거라고 하니, 관련된 다른 시리즈도 있다면 재미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