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마음의 푸른 눈
함정임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푸른색으로 시작해 푸른색으로 끝을 맺는 함정임의 단편집 <네 마음의 푸른 눈>은 색이 주는 묘함 때문에 몽롱하다. 지극히 세속적인 듯하지만 읽고 나면 어느새 뒤통수부터 저릿해지면서 텅 비어버린다. 그녀의 글 궤적을 좇다보면 시나브로 색채 속으로 말려들어가는 환상이 느껴진다.

<버스, 지나가다>를 내고 3년 동안 그녀는 낯선 곳을 떠돌며 그곳에서 만난 운명(작가의 말로는 운명이려다 만 것)을 엮었기 때문이다. 미완의 운명에서 완성된 운명보다 뚜렷한 푸른색을 얻어 냈다는 그녀는 이번 작품을 통해 현실과 환각적 몽환이 겹치는 경험을 독자에게 선사한다.

11편의 작품이 실린 이번 단편집은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문학동네> <세계문학> <현대문학> <작가세계>와 같은 문예지에 발표한 작품을 모은 것이다. 특히 장편연재를 제외하고 지난해만 중단편을 무려 여덟 편을 발표하는 다작을 했다.

그녀는 '소설'에게 빚 갚음을 위해 쓰고 또 썼다고 한다. 그러나 쓰기는 마음먹기로 되지 않고 언제나 독기를 요구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멈출 수 없었던 것은 한 가지 생각에서였다고 한다.

"내가 진 이 빚은 정녕 무엇인가? 소설가로 데뷔한 이래 나는 늘 소설에게 미안했다."

표제작인 <네 마음의 푸른 눈>에 등장하는 '일산 아이'는 외국 생활에 따른 이중 언어습득 과정에서 오는 유사자폐를 가지고 있다. 그는 말하지 않았고 언어장애를 치료받고 있었다. 생각과 삶의 이중구조는 가끔 현실에서 달아나기 좋은 재료다. 작가는 일산 아이의 입을 빌어 이번 단편집의 주제를 말하고 있다.

"Nothing is real"

주제가 주는 몽롱함과 더불어 단편을 엮은 단편집을 평하기는 쉽지 않다. 자칫 작가의 의도된 주제를 한참 비켜가는 결례를 범할 수 있고 또 하나는 의도된 공통의 주제가 없는 것을 억지로 짜내는 우를 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오류를 피해가는 가장 안전한(?) 방법은 작가의 입을 통해 직접 듣는 것이다. 물론 작가의 말에서 대부분 작가가 관통하는 세계를 엿볼 수 있지만 이번에 그마저도 여의치 않았다. 작가가 숨겨놓은 '몽환의 덫'에서 쉽사리 빠져나오지 못했기 때문이다.

결국 이번 단편집에 대한 평은 의도된, 혹은 의도되지 않은 주제와 작가의 근황을 엮는 이메일 인터뷰를 했다.

- 지난해는 소설에게 진 빚이 정량적으로 단편 여덟 편 정도인 듯하다. 아니면 더 많을지도. 늘 소설에게 미안한 이유에 대해 말해 달라(책 말미 '작가의 말'과 달리).
"소설은 어느 날 하늘에서 뚝 떨어지듯 나에게 온 어떤 것이다. 생애 첫 단편으로 소설가로 데뷔하기 전까지 소설가를 꿈꿔본 적이 없다(믿기에 어렵겠지만!). 데뷔 이래 늘 소설과 낯가림을 해왔고, 매 소설을 시작할 때마다 낯선 세계를 여행하는 여행자의 심정이었다. 데뷔 때부터 직장생활(문학사상 기자, 작가세계 편집장, 솔출판사 편집부장)과 병행하면서 창작해온 관계로 늘 부족한 시간에 시달려왔다.

그러나 1998년 이후 전업 작가 생활을 하면서 중·장편도 시도하고, 소설을 본업으로 인접 장르에 대한 글도 쓰게 되었는데, 이 작품집에 수록된 작품들을 창작할 당시에는 유럽예술묘지기행서인 <그리고 나는 베네치아로 갔다>와 파리기행서 <인생의 사용>, 미술 에세이 <나를 사로잡은 그녀, 그녀들> 등 에세이 작업이 몰려 있어서 소설을 위한 시간을 온전히 내지 못했다.

'미안하다'는 것은 작가에게는 작품의 현장이라고 할 수 있는 문예지의 소설 청탁을 다음호로 미루고, 미루고 하면서 갖게 된 안타까움, 아쉬움의 표출이다. 늘 마음속에는, 언제 한번 제대로 소설을 써보았으면 하는 간절함이 있다. '소설에게 미안하다'는 말은 소설을 하나의 살아 있는 존재(인간)로 섬길 때 가능한 표현이다. 나는 소설 이상의 애인을 둔 적이 없다. "

- 푸른색이 주는 이미지가 여행(또는 여정) 속에서 만난 미지의 인연들과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설명해 달라.
"<네 마음의 푸른 눈>에서의 푸른 눈은 심안(心眼)의 빛이다. 그것은 순간적인 찰나의 빛으로 영원한 소통이 가능한, 그러니까 훼손된 자아의 치유, 또는 소외된 자아의 만남(환원)의 순간을 의미한다. <푸른 모래>에서의 그는 소설의 여정이 작가의 여정을 이끄는 신비로운, 초월적 인연을 선사하고 있다.

지금 나는 소설처럼 일산에서 부산 청사포 바닷가에 살고 있다. 청사포는 푸른 모래의 모티브가 된 지명이다. 실제 청사포의 청은 맑을 청이지만, 이곳 해운대 청사포 사람들은 도로 표지판에서 한자의 '淸'자에서 물 수(水) 변을 지우고 푸를 청(靑) 자로 부르기도 한다고 한다. 맑은 모래, 푸른 모래, 푸른 뱀(靑蛇)…. 소설을 정밀하게 읽어보면 이러한 이미지와 의미의 변주가 가능할 것이다."

- 작품 속에 참 많은 인물이 등장한다. 작가의 분신으로 숨어 있음직한 등장인물에 대해 귀띔해 줄 수 있는지. 또는 가장 연민을 갖는 인물이 있다면 이유를 설명해 달라.
"<문어에게 물어봐>는 <문학동네> 젊은 작가 특집의 '자전소설'란에 들어간 작품이다. 소설가의 소설치고 자전 소설 아닌 것이 있으랴마는, 자전이라는 타이틀을 비석처럼 거느리고 있으니 가장 흡사하지 않을까 한다. 그리고 앞서 말했던 <푸른 모래> 또한 그렇다. 가장 연민을 갖는 인물은 <네 마음의 푸른 눈>의 일산 아이다."

- 많은 작품 중에서 11편을 묶은 의도된 주제(또는 의도한 바)가 있으면 설명해 달라.
"의도는 없다. 나는 새로움을 중요시하는 작품 스타일을 갖는 작가지만, 또한 무엇보다 자연스런 흐름을 중요하게 여기는 작가이기도 하다. 의도라고 하자면, 원래는 10편으로 마무리가 되었던 것인데, 나중에 <푸른 모래>를 넣었다.

<푸른 모래>와 더불어 같은 시기 발표한 작품은 다음 작품집에 수록할 예정인데, 그러고 보니 딱히 열한 편의 의도라기보다 책 한권의 형상을 위한 의도가 없지 않다. <네 마음의 푸른 눈>에서 <푸른 모래>로의 이행, 그러면서 푸른 빛, 환각의 현상학적 환원의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 지난해처럼 중·단편 다작인지 아니면 장편인지, 번역을 준비하고 있는지 등 앞으로 작품 활동에 대해 말해 달라.
"그동안 소설집을 6권 출간했다. 그러니 중단편(거의 단편)을 50편 이상 창작한 셈이다. 장편은 두 권이고, 올해 출간 예정인 연재한 장편이 한 권이니 단편에 상당히 치중된 편이다. 처음에는 시 또는 시적인 것으로 글을 시작한 이유도 있지만, 호흡 면에서 나는 단편에 적합한 작가라는 생각을 많이 한다.

스토리(서사)보다는 의미(시적 이미지)의 창출에 오랫동안 사로잡혀 있었다. 현재는 서사와 이미지의 강한 결합을 꿈꾼다. 장편의 길을 모색하고 있는 중이다. 계간 <작가세계>에 <내 남자의 책>을 연재 중이며 프랑스의 현대 작가 브누아 뒤퇴르트르의 경장편들을 번역중이다. "

- 그간 독자나 문단에 펼쳐 놓지 못한 이야기가 있다면 해달라.
"함께 소설가의 길을 걸으며, 또 그 소설가들의 소설을 읽으며 살아온 모든 이들에게 동지감을 느낀다. 소설에게 미안한 마음을 떨치고, 오직 그것에 전념함으로써 자유로워지고 싶다. 새처럼."

함정임은 누구?

1990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광장으로 가는 길>로 등단. 소설집 <이야기, 덜어지는 가면> <밤은 말한다> <동행> <당신의 물고기> <버스, 지나가다>, 중편 <아주 사소한 중독>, 장편 <행복> <춘하추동> 등이 있다.

서양 최초의 여성 화가의 일생을 그린 <불멸의 화가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 에릭 바튀의 아름다운 일러스트 동화집 등을 우리말로 옮기기도 했다.

여행과 일상을 아우르는 산문집 <하찮음에 관하여> <지금 살아 있다는 것은>, 프랑스 기행서인 <인생의 사용>, 유럽 묘지 기행서 <그리고 나는 베네치아로 갔다>, 미술에세이 <나를 사로잡은 그녀, 그녀들> 등을 펴내는 등 왕성한 창작활동을 하고 있다.

1964 전북 김제생. 이대 불문과 졸. 한신대 대학원 문창과 졸(2006). 현 동아대 문창과 교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