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뒤흔든 16가지 살인사건 - 과학수사와 법의학으로 본 조선시대 이야기
이수광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왜 내가 지금 이 시대에 태어나가지고 이런 고생을 하는 거야?' 하는 원망의 마음. 이 책을 보고도 그런 생각을 여전히 할까? 의문스럽다. '아니다'에 한표를 던진다. 왜? 

 

이 책을 읽고 난 느낌은 한마디로 '지금 이 시대에 태어난 게 정말 다행스럽다'는 것이다. 적어도 이 책에 나온 시대, 조선시대에 비해서는 지금이 낫다는 말이다. 아주 낫냐고? 그건 말 못하겠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좀 무서웠다. 피가 나오고 총, 칼이 나오는 영화는 공짜 티켓이 생겨도 피하는 편이다. 제목이며, 표지부터 으시시하다. 좀 두려웠다. 그런데 내용은 내 예상과 달랐다. 드라마, 영화에서 보아왔던 조선시대 이야기와는 다른 정말 현실감이 있고 구체적인 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었다. 끔찍하고 잔인한 부분도 있었다. '이런 나쁜 X가 있나?' 하며 치가 떨리고 이가 갈리는 부분도 있었다. 하지만 그 안에 내 모습이 보이기도 했고, 지금 이 시대가 투영되기도 했다. 역사를 알아야 한다는 말이 이래서구나 하는 공감이 절로 되었다.

 

조선시대는 무엇보다 철저한 신분사회였다는 것이 지금과 크게 다른 점이었다. 신하는 임금에게, 자식은 부모에게. 이것까지는 별 거부감이 없을 것이다. 학창시절 한문시간에 배운 사자성어가 떠오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 다음, 여자는 남자에게, 종은 주인에게 순종해야 했다. 뭐, 여기까지도 그러려니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뒤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학창시절 이런 이야기를 수업시간에 들었다면 역사 시간에 깨어는 있었을 텐데. 아니면, 내가 잘 때 한 것일까? -_-;;)

 

남자는 첩을 몇이든 거느릴 수 있었고, 여자는 허용되지 않았다. 주인이 종을 죽여도 살인죄가 성립되지 않았는데, 반대로 어떠한 이유에서라도 종이 주인을 죽이면 능지처참을 당했다. 능지처참은 단순한 사형이 아니다. 수레에 팔과 다리, 목을 메달아 사람을 찢어 죽이는 것이다. 이것은 어떠한 이유라도 용납되지 않았다. 가령 주인이 종의 아들을 아무 이유 없이 죽였더라도 그 종은 주인을 죽일 수 없었다. 실제 그런 사건이 이 책에 나와있었다. 자신의 아들을 죽인 주인을 복수한 종은 살인죄가 성립되었다. 이 형벌을 내린 사람들 역시 거느린 종들이 있었으므로, 자신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어쩔 수 없었던 것이다.

 

종, 더 구체적으로 사노는 매매가 가능했고 조선 초기에는 말 한마리 값의 3분의 1수준이었다고 하며 전쟁시에는 더욱 값이 폭락했다고 한다. 그리고 여종들은 태어나서 7,8세가 되면 주인의 몸종이 되고 15,6세가 되면 주인이나 주인 아들의 성적 노리개가 되었다고 한다. 지극히 끔찍하고 잔인한 살인 사건은 바로 여기서 기인했다. '종년 간통은 누운 소 타기'라는 말이 나돌 정도로 여종을 겁탈하는 주인의 행동은 사회 일반적으로 용인되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 부인은 이를 곱게 볼 수가 없었을 테고, 어떠한 상황에서든 남자에게 순종해야 하는 당시로서는 그 불똥이 애궂은 여종에게 튄다. 여종의 목숨은 파리 목숨보다 못했던 것이다. 결국 처참하게 죽임을 당하는 그 여종. 이를 보고 여성이 남성보다 더 폭력적이다고 어떻게 단언할 수 있는가?

 

대도 임꺽정 사건은 이런 제목으로 소개되고 있었다.

'누가 진짜 도적이란 말인가' (p914)

그릇된 사회 제도와 풍조는 이 책에서 나온 사례들과 같이 잔인하고 참혹한 실상을 낳는다. 역사가 들려주는 이 교훈을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려서 되겠는가?

 

오늘의 이 시대를 되돌아 보게 하는 이 책. 감히 사극보다 이 책이 훨씬 볼 만하다고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