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이름을 보고 바로 집어 들었다. 다른 책과 강의에서 보고 크게 공감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어떤 이야기일까 하는 부푼 기대감 반 호기심 반으로 책장을 펼쳤다.

 

백수. 저자는 말한다.

백수는 인류의 미래다

이 한 문장이 이 책을 압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백수를 +로 볼 것인가 -로 볼 것인가 하는 부분은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기발하면서도 공감되는 부분이 많았다. 중심은 연암 박지원에게서 힌트를 얻는다. 고정된 사고방식을 바꾸면 지금 현재의 가 오히려 자랑스럽고 어깨에 힘이 들어간다.

 

본인은 물론 사회에도 도움이 되는 백수의 삶은 정적인 삶이 아니다. 오히려 백수가 아닌 사람보다 더 바쁠 수도 있다. 저자는 여러 가지 제안을 한다. 우선 집을 나갈 것. 아침에 눈을 뜨고 나가는 의미도 되지만, 한편으로는 부모 품을 벗어나 자립하는 것 또한 의미한다.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경제적인 활동을 하되 화폐에 얽매이지 않는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관건이다.

 

손에 무언가를 쥐고 있을 때, 다른 것을 쥘 수가 없다. 돈이나 사회적인 명성 등을 좇는다면, 잃는 것 또한 생기기 마련이다. 특히 친구라는 관계의 상실. 가족과 연애만을 최상의 가치인 것처럼 긍정하는 미디어 등에 노출되어 친구의 소중함을 망각하기 쉬운 시대에 살고 있다. 친구, 스승 등 가족과 연인 외에도 우리의 성숙을 돕고 꼭 필요한 관계의 사람들이 많다.

 

누구나 알기 쉬운 언어로, 편안하게 읽을 수 있었다. 청년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우리 사회를 이해하고 싶은 누구에게나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