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 식민지 대만에서의 일본 식민주의와 문학/언어 개혁들

 

[1] 향토문학 운동과 대만어 표기법(모두 1930년대) 운동의 전사정치적으로

ü  이 두 운동은 정치영역에서의 좌절로부터 비롯된 것. 개량주의자도 급진주의자도 모두 좌절.

ü  개량주의자들의 반-식민주의: 일본과 중국의 유학생들로부터 시작. 원래는 일본에 잘 적응하고 싶어했던 사람들인데 한국 중국의 반-식민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반-식민주의에 눈뜸. 1920년대 초 신민계(한자는??) 설립으로부터 시작. 대만인에 대한 차별을 법에 새겨 넣은 법63조 철회 및 대만에 대만인에 의한 국회 설립(à 자치 운동)을 위한 탄원을 일정부에 총 15번 제출하였으나 아무 성과 없었고, 대만의 반식민주의를 지지하는 중국인들과의 연대도 큰 성과 없었고.

ü  개량주의자들과 중국의 관계: 일본은 대만과 중국을 서로 절연시키기 위해 노력함. 이런 상황에서 대만 개량주의자들은 중국과의 연대를 꾀함. 대만섬 인구의 80프로 이상이 대륙 한족이었으므로 자기 정체성을 중국인이라고 생각 했고. 그러나 중국인과 다른 점이 있는데 그것은 대만이 중국이면서도 후진적인 중국이라고 생각한 것. 이 후진성은 보존해야 할 것인 아니라 벗어나야 하는 것이야. 그래서 이 후진성을 벗어나 선진적인중국인이 되는 것을 원했고, 그 방법으로 (정치적 좌절이 명백해지면서) 학교, 강연, 세미나 등 통해 대만인들 계몽 교육하는 데 힘을 기울임. 그러나 중국과의 결합을 정말 원했나 하면 그것도 아님. 그런 당당한 중국인이 됨으로써 정말 중국과 하나가 되고 싶었다기 보다는 문화적 후진성을 극복함으로써 일본인과 차별받지 않는 상태로 나아가고 싶었다고 보아야 함. 개량주의자들의 반-식민활동 많이 알려져 있는 이유는 이들이 공식적으로 활동했기 때문. 이들의 활동은 일-제국주의에 직접적으로 도전한 것이 아니라서 공식적 활동이 가능했어. 반면 급진적 반-식민주의자들의 경험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아. 왜냐하면 이들은 정치적으로 도전했고 그렇기 때문에 비밀리에 활동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야.

ü  급진적 반-식민주의: 이들은 개량주의자들의 자치 운동에 절대 반대했어. 그건 식민상태를 영속화하는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 1920년대 초 도쿄에 있었던 대만 학생들 사이에 사회주의 바람이 불었고 중국과 일본에서는 대만 학생들의 사회주의 운동 조직이 생겨남 (정식 조직은 1927년에 도쿄에서). 이들이 사회주의에 끌린 이유는 사회주의가 약소민족의 해방을 주장했기 때문이야!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도 당시 큰 영향 미쳤고.) 이들이 보기에 일본은 중국과 대만의 공통의 적. 대만은 중국, 한국, 필리핀, 인도와 같이 제국주의 아래서 신음하는 약소민족국가. 그니까 이들은 이미 대만을 정치적으로 하나의 구별되는 민족으로서 본 것인데, 사실 이 견해는 당시의 국민당과 공산당의 대만에 대한 시각과 다르지 않았어. 중국이 대만을 자신들에게 귀속해야 할 자신들의 일부라고 천명한 것은 1943년 카이로 회담에서야.  

ü  대만의 정치적 정체성에 대한 시각은 양측이 완전히 달랐지만 양측 다 대만 문화의 고유함을 두드러지게 주장하지는 않았고 또 그 문화적 고유함을 정치적 행동의 이유로서 제시하지도 않았어. 대만 문화의 특수함이 문제가 된 것은 이런 양측의 정치 운동이 모두 철벽 탄압당하고 난 뒤인 1930년대에 일어난 문화 논쟁에서야. 이 두 논쟁은 하나의 동전의 양면. 하나는 문학을 대만 문화의 특수성을 재현하는 지적 활동으로 보았고, 다른 하나는 이 문학적 재현의 툴로써 언어를 본 것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영속패전론 - 전후 일본의 핵심
시라이 사토시 지음, 정선태 옮김 / 이숲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지만 이처럼 새롭게 등장한 일본 내셔널리즘에는 커다란 모순이 있습니다. 왜냐면 ‘대일본제국‘을 진심으로 ‘긍정‘한다면, 미국과 벌인 전쟁에서 대일본제국이 패배한 사실을 부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궁극적으로 일본은 미국과 다시 전쟁을 치러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일본의 자칭 내셔널리스트들은 대부분 이런 일을 상상조차 하지 못합니다. 그 이유는 현실적으로 전쟁을 벌일 국가 전략이 없어서가 아니라 미국의 우산 아래서 일본 내셔널리즘을 주장하는, 즉 외국의 비호를 받으며 내셔널리즘의 욕망을 채우는 일이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못할 정도로 대미 종속 체제가 어느새 자명해진 데 있습니다. 이런 태도는 미군 점령기부터 정치 경제 문화 등 국민 생활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영역에서 미국의 영향을 받으며 오랫동안 형성됐으므로 간단히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8)

다만, 미국 덕분에 유지된다고 생각하는..., 내셔널리스트 자신이 보기에도 기이한 일본의 내셔널리즘 구조가 초래한 결과는 뻔합니다. 그것은 바로 대미 관계로 좌절된 내셔널리즘의 스트레스를 아시아를 향해 분출하는 행동입니다. 즉 그들은 아시아에서 온힘을 다해 패전을 부정합니다. 다시 말해서 대미 관계에서의 패배는 뼛속까지 새기면서도 같은 동전의 뒷면인 아시아에서의 패배는 부인하는 것입니다. (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문 


* 표현

1) Underlying

  • Underlying this version of nationalism is a concern, if not an obsession, with the uniqueness of "Taiwanese culture" set against "Chinese culture."
  • Underlying these campaigns was an ambivalent attitude toward local cultural tradition when compared with Western civilization, as absorbed and demonstrated by modernized Japan. 

2) See의 주어가 사물/시절로 올 때

  • The 1920s saw the development of Taiwanese non-violent anti-colonialism influenced by such modern political concepts as democracy, socialism, and national self-determination.
  • In spite of official suppression, the second half of the 1980s saw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drive for Taiwan independence. 


* 정리

  • 대만의 문화 민족주의의 주창자들은 인문주의 지식인들--중에서도 특히 문학, 언어학, 역사학 연구자들
  • 청나라 때 대만으로 건너온 대륙의 한족들은 크게 복건에서 온 Hoklo와 광동에서 온 Hakka(객가). 이들 중 특히 Hoklo가 19세기 초 대만섬 인구의 80%차지하는 주류가 됨--내성인의 대부분. 이 둘--모두 한족이지만--을 구분하는 의식은 나중에 대만의식이 커지면서 아주 약해짐.  
  • 79년 미국이 대만 버리고 중국 선택 > 대만 내 대만 민족주의(정치적 야당) 목소리가 급성장하며 민진당 성립 > 국민당 독재도 야당에 대해 어느 정도 관용하면서 (냉전 붕괴에 따른 국내 정치 해빙) 동시에 국민당의 대만인화를 극적으로 추진하여 이등휘가 국민당 부대표 진출 > 1991년에는 국회 세 개 기구의 대륙 출신 리더 3명이 모두 퇴직하고 대만인들이 그 자리를 채우게 됨. 대만 국민당에서도 완전한 세대 교체가 일어난 것 > 이들이 1993년 "신당"을 창당. 민진당과 양대 세력이 됨.
  • 90년대 이후로 대만 독립에 대한 국민당과 민진당의 입장은 모두 부드러워짐. 국민당은 대만인 정체성이 전반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지지자들 모으기 위하여 중국수복 입장을 좀 완화하고, 96년 대선에서 진 뒤 민진당의 온건한 입장에 불만 가진 강경파 사람들이 따로 나가서 건국당 만들고. (이 부분 아주 흥미로움!) 
  • 대만 민죽주의에 대한 기존 연구 > 두 모델 중 하나: 앤더슨의 상상의 공동체 모델 vs 정치적 경쟁 모델 : 앤더슨 모델의 약점--상상의 공동체, 또는 내셔널리즘이 하나의 목소리인 듯한 착각 낳아, 누구의 내셔널리즘인가를 못 잡아, 관심도 없고 > 이 책은 정치적 경쟁 모델을 선호함. 왜냐? 대만의 문화 민족주의를 이해해야 하니까.
  • 정치적 민족주의와 문화적 민족주의의 차이. 이 둘 관계에 대한 일반론 > 대만의 민족주의는 이 일반론과 일치하지 않아 > 대만은 정치적 민족주의가 좌절되면서 문화적 민족주의가 번성한 케이스.
  • 이 책의 목표: The purpose of this book is not to provide a general account of either the origins of Taiwanese national sentiments or of the nationalist movement, rather, it is concerned with a primary version of the development of Taiwanese nationalism in which empowerment through cultural uniqueness has been the leitmotif. It views how the ideology of Taiwanese cultural peculiarity has been articulated and how this ideology articulates various socio-political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Taiwan's particular historical development. (20) 
  • 민족주의와 현대화의 관계 > 적어도 아시아에서 민족주의는 현대화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남 > 서구 현대화에 충격/공격 받고 그들과 같은 현대화로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않은 자신들의 전통문화를 되돌아보면서, 문화를 현대화할 능력 있는 유일한 주체로서 네이션스테이트를 세우려 함. 이 네이션 빌딩의 과정은 또한 자신들의 전통문화 중에서 현대화로 이어질 수 있는 요소들을 (재)발견하는 과정. 때문에 문화민족주의자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태도는 복잡함. 국민당 룰 아래서 전면적이고 빠른 현대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데 대한 실망이 대만 문화 민족주의에 불을 질렀음. > 민족주의 자체가 우리와 그들 사이의 이분법에 확고하게 발 딛고 있는데 더하여 대만의 문화 민족주의에서는 대만적인 것과 중국적인 것 사이의 수많은 이분법 쌍들이 개발됨. 이들이 대만 문화 민족주의 담론의 뼈대를 이룸.
  • 그 대표가 바로 호클로어(민남어) 부활주의자들. 이들은 민남어 구어 확산만이 아니라 그 필기 방식을 알파벳으로 표음식으로 새로 만들자고 주장. 중국어는 외래적, 권위적, 후지고(현대화를 방해) 우리는 오염시킨 것. 이에 대항하는 새로운 민남어는 현대적이고 민중적이며 현대화를 완성시킬 도구.
  • 이건 아주 중요한 문제. 왜냐하면 문화 민족주의자들에게 민족의 문화는 현대적 문명들과 경쟁하고 스스로가 현대적 문명이 되어 세계 문명에 기여할 존재니까 지상의 중요성 가져. 또 바로 이 때문에 전통문화라는 것은 이들이 사용할/창조할 것들이 담긴 창고이지만 더 중요하게는 결국은 떠나야 할 감옥이 되는 것. 이 모순이 중요해. 문화 민족주의자들은 현대에 대해 단순히 퇴행적으로 반응하는 사람들이 아니야. 그들이야말로 현대화를 갈망해.
  • 모든 민족주의 연구에서 미디어/미디움이 중요해. 어떤 채널을 통해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를 전파했는가? 대만의 문화 민족주의는 1980년대 들어서 인문학적 지식인들과 대학생들, 특히 대학생 써클(지식인들이 이 써클의 멘토가 되어줌) 사이에서 엄청나게 유행함. 대만 전체로 보아서는 물론 소규모 세력에 불과하지만, 80-90년대 대만 전체의 대만인화/의식화(국민당도 순응한 그 대세)에 발 맞추어 국민당 정부도 문화적으로는 대만성을 인정하고 받아들이게 됨. 그리하여 국가가 제공하는 문화의 내용이 대만 민족주의로 바뀜. 공교육에 그 내용이 들어갔던 것. 대만 문화 민족주의는 그 자체로 대만이라는 네이션스테이트를 낳은 것은 아니지만 반문화를 형성하고 대중을 새롭게 교육시킴으로써(이것이 문화 민족주의자들의 목표. 새 인간을 만드는 것) 머잖은 미래에 그 네이션스테이트 운동에 뛰어들 상대적으로 근본주의적인 민족주의자들을 길러냈다는 점에서는 성공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8월 1일이니 무엇인가를 새로 시작하기 좋은 날.

7월은 정신 없이 지났고, 8월이 되어서야 2017년의 하반기를 시작하는 기분.

8월부터 영어 읽기 다시 시작하기로!

 

8월의 책은 안방 책장에 오래 꽂혀 있던 Contemporary Taiwanese Cultural Nationalism으로 방금 결정.

 

  • 저자: A-chin Hsiau
  • 출판년도: 2000 (초판)
  • 출판사: Routledge
  • ISBN: 0-415-22648-1
  • 구성: 서문 빼고 총 7장
  • 비고: Routledge Studies in the Modern History of Asia의 일곱 번째 책. 그런데... 이 시리즈 목록을 보니 재미있음. 2번 Chinese Workers: A New History (by Jackie Sheehan)와 6번 Triads as Business (by Yiu Kong Chu)도 읽고 싶다! 특히 후자 "사업으로서 삼합회"는 누가 번역 좀 해주면 정말 좋겠는데, 방금 검색해보니 역시나 국내엔 번역되어 있지 않군. 2014년도에도 페이퍼백으로 재간된 것을 보면 역시나 소재가 소재이다보니 잊혀지지 않고 꾸준히 읽히고 있는 듯. 그러나 쓸데없는 오지랖은 일단 접고 8월에는 "이 시대 타이완의 문화 민족주의"에 집중할 것.
  • 방법: 각 장을 읽고 익힐 표현 딱 3개 + 내용 간단 요약으로 정리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헌법의 무의식 가라타니 고진 컬렉션 15
가라타니 고진 지음, 조영일 옮김 / 비(도서출판b)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9조는 강제된 뒤 초자아화되어 방기될 리 없으며 지금은 ‘제국주의‘ 단계+자본주의 정점 근접+세계대전 확률 고니 일본은 9조 실현하여 사람 노릇 하자는 훈훈한 결론 받치는 첫째 벽돌인 1장은 비약 많음. 도쿠가와의 유교에 상응하는 평화철학이 2차대전 후엔 없어 9조가 저리 부평초된 것 아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