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의 기원 드디어 다윈 1
찰스 로버트 다윈 지음, 장대익 옮김, 최재천 감수, 다윈 포럼 기획 / 사이언스북스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각각의 종에서는 실제로 생존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개체가 태어난다. 그 결과 계속해서 생존 투쟁이 일어나게 된다. 이 때문에 복잡하고 때때로 변화하는 생활 환경이라는 조건으로 아무리 경미하더라도 어떤 방식으로든 그 유기체에게 이로운 변이가 나타나게 되면, 그 유기체는 더 좋은 생존 기회를 부여받을 것이고 그로 인해 자연에 의해 선택될 것이다. - P40

즉 우리가 사육하고 재배하는 동식물들은 자연 상태의 일정한 생활 조건에 노출되었던 그들의 부모 종과는 달리 각기 조금씩 다른 환경에서 길러지기 때문에, 이러한 엄청난 가변성이 새겨난다는 것이다. - P47

이러한 몇몇 경우에서, 특정 성장 기간에 약간의 수분이 있고 없고의 차이 같은 매우 사소한 변화가 그 식물이 씨를 뿌릴지 말지를 결정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 P49

동일한 과육으로부터 나온 묘목들이나 한배에서 난 어린 새끼들이 서로 상당히 다른 경우를 가끔 볼수 있다. 프리츠 뮐러...가 언급한 것처럼 부모와 어린 새끼들이 겉보기에는 정확히 동일한 생활 조건에 놓였음에도 말이다. 이것은 번식의 법칙, 성장의 법칙 그리고 대물림의 법칙에 비해 생활 조건의 직접적 영향이 얼마나 하찮은가를 보여 준다. - P51

나는 이러한 변화를 일으키는 모든 원인 중에서 단연코 가장 지배적인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로 누적적 선택의 작용이라고 확신한다. 그 작용이 체계적이고 빠르게 적용되든, 아니면 무의식적으로 느리게 적용되든 상관없이 말이다. - P91

대신 나는 부모와는 약간 달라진 상태에서 점점 더 달라지는 상태로, 어떤 분명한 방향으로 구조적 차이들을 누적시켜 나가는 자연 선택의 작용... 때문에 변종의 계대가 이루어진다고 본다. - P105

생존 투쟁의 보편성을 말로만 받아들이는 것은 쉬운 일이지만 그 결론을 계속해서 마음속에 새기는 것은 너무나 어려운 일이다. 적어도 나에게는 그렇다. 하지만 이것이 마음속에 완벽하게 새겨지지 않는다면 자연의 전체 경제..., 즉 분포, 희귀성, 풍성함, 멸종, 그리고 변이에 대한 모든 사실들은 희미하게 보이거나 완전히 오해될 것이라고 나는 확신한다. - P119

그런 시도를 통해 확실히 알게 되는 한 가지 사실은, 모든 유기체들의 상호 관계에 대해 우리가 얼마나 무지한가일 것이다. 이런 확신은, 얻기는 힘들어 보이지만 우리에게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한시라도 잊지 않는 것뿐이다. 각 유기체들은 기하 급수적인 비율로 개체수를 증가시키려 애쓰고 있고, 각 세대 동안이나 세대 사이의 특정 시기에 생존을 위한 투쟁을 해야 하며, 파멸의 위기를 겪어야 한다는 사실 말이다. - P138

이러한 생존 투쟁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볼 때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들로 스스로를 위로할 수 있다. 자연의 전쟁이 쉴 새 없이 일어나지는 않고(?), 죽음은 대개 순간적이며, 어떤 두려움도 느끼지 않고 왕성하고 건강하며 행복한 자가 살아남아 번영한다는 사실 말이다. - P138

(핵심 문장) 자연 선택은 오로지 경미하고 이로운 잇따른 변이들을 축적하는 것에 의해서만 작용하므로, 거대하고 급격한 변화가 생기게 하지는 못한다. 또한 자연 선택은 매우 짧고 느린 단계를 통해서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 이론을 통해 "자연은 도약하지 않는다."라는 격언--우리의 지식에 새로운 사실이 더해질수록 그 정확성에 더욱 확신이 가는 명제--을 쉽게 설명할 수 있다. 우리는 왜 자연이 혁신에 대해서는 인색하지만 다양성에 대해서는 너그러운지를 명백히 알 수 있다. - P6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