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김금수 선집 : 노동운동론
김금수 지음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노동운동론은 작년 이맘때 돌아가신 김금수 선생의 글을 모아 한국노동사회연구소에서 출판한 것입니다.


김금수 선생은 강의도 많이 하셨지만 한겨레신문 논설위원도 하시는 등 글도 참 많이 쓰셨습니다. 글을 쓸때는 깊은 고민을 담아 세심하게 공들여 쓰셨습니다. 한국노동교육협회 시절 회보인 노동조합의 길에 쓴글을 비롯하여 한국노동사회연구소에서 펴낸 노동사회에 실린 글들과 짧은 논문과 시평이 담겨 있습니다.


1125일 열린 노동운동론출판기념회에 다녀왔습니다. 선생님이 돌아가신지 벌써 1년이 흘렀습니다. 출판 기념회에는 노동계 원로분들을 비롯하여 많은 분들이 참석했습니다.

김금수 선생님에 관한 많은 이야기들이 오고 갔습니다. 그중에 기억에 남는 것은 선생은 돌아가시기 직전까지 세계노동운동사 학습모임을 하셨고, 삶의 마지막날까지 이재유선생 기념사업회 일에 매진하셨다는 이야기입니다. 말로만이 아니라 스스로 학습과 실천의 끈을 놓지 않으려 애쓰셨다는 것을 다시 생각했습니다.

낙관주의를 아무리 강조한다고 하더라도 도무지 말발이 서기 어려운 형편이다. 그렇다고 비관주의가 넓은 동의를 얻기에는 역시 경험을 차마 부정할 수가 없다. 그래서 회의는 더욱 깊어지는 것이다. 이런때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겠는가? 우선은 화두에 악착같이 매달려 정진의 자세를 갖는 일도 중요할 듯하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폭넓은 논의를 수업이 계속하고 토론하자. 그리고 공부하자. 결코 지나쳐 가거나 남이 안겨주기를 기대할 일도 아니다. 노동운동에서 도깨비방망이를 기대하는 것은 무망한 일이기 때문이다. 해답은 어차피 실천을 통해 얻어질 수밖에 없으며, 시행착오는 적을수록 좋으나 피하기도 어려운 일이 아니겠는가

선생의 글을 가려 모아 만든 노동운동론590여쪽에 이르지만 48편의 짧은 글들을 모은 책이라 처음부터 읽지 않아도 좋고, 어느 곳을 펴더라도 읽기에 부담이 없습니다. 물론 짧지만 물음과 깊은 고민을 담은 글들입니다. 노동조합 활동을 하는 분들, 노동운동의 진로를 고민하는 분들이 함께 읽고 학습용 자료로 활용하면 좋겠습니다.

노동조합 활동을 하시는분들, 노동운동 연구에 관심이 있는 학자와 시민들에게 일독을 권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했으나 하지 않은 날들이 좋았다
강회진 지음 / 문학들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번도 안 가본 사람은 있지만 한번만 간사람은 없다는 초원의 몽골

한마디로 처절하게 아름답다

서문을 써준 몽골 시인의 글은 황홀하다

그래 아직 난 몽골에 가보지 못했다.

반드시 조만간 가봐야 겠다.

멋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을 인터뷰하다 - 새로운 중국을 만들어가는 사람들
이창휘.박민희 엮음 / 창비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을 인터뷰하다>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중국의 인물들을 통해 중국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책이다. 몇 번의 중국 여행 속에서도 느낄 수 없었던 이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책속에 등장하는 11명의 대담자들 중에서 특히 노동자의 집을 짓는 거리의 가수 쑨헝(孫恒)의 이야기가 오래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태일 평전 - 신판
조영래 지음 / 아름다운전태일(전태일기념사업회)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깔끔한 표지 디자인이 마치 전태일의 삶 처럼소박합니다. 그러나 책 속에는 묵직한 사상이 담겨 있습니다. 전태일은 열사를 넘어 마치 성자와 같습니다. 읽을수록 깊은 맛,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대는 왜 촛불을 끄셨나요 - 폭력과 추방의 시대, 촛불의 민주주의를 다시 묻는다 당비의생각 2
당대비평 기획위원회 엮음 / 산책자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그대는 왜 촛불을 끄셨나요

 

이 책은 읽으면서 촛불시위 1년에 대한 여러 사람들의 분석을 통해 뒤늦게나마 촛불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항상 몸보다 머리로 생각을 먼저 하는 나는 촛불의 발랄, 신선함에 놀라다, 나중에는 감격하다가 뭔가를 기대하는 지경에 이를 즈음 이 책에서 지적한 것처럼 “100만명쯤 모여도 아무 일도 안 일어나네”(p.28)라는 표현처럼 그날을 전후로 나도 역시 당혹감과 낭패감이 들었던 기억이 있다.

광우병 쇠고기에 대한 공포는 확실히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본다. 그렇다고 저들의 주장대로 ‘PD수첩이 유포한 공포’가 촛불을 거리로 불러들였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아무리 이야기해도 국민의 주장을 도대체 들으려 하지 않으려는 정권에 대한 분노가 컷고 그 분노가 분노의 촛불을 모았다고 ‘명박퇴진’이 자연스럽게 외쳐졌다. 그러나 실제로 그 거리 다수 촛불들이 원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 국민과의 소통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완전한 해결은 되지 않았지만 어쨌든 정권이 사과하는 시늉을 하면서, 그리고 시간이 흐르면서 급격히 소멸되었다고 본다. 그래서 “촛불을 무조건 민주주의적으로 단언하려는 암묵적인 주장에 거리를 두려는”(p.9)장을 지지하는 편이다. 기억을 돌이켜 보면 <6월 5일 현재 운동권의 뇌구조>라는 그림은 아마도 상당 부분 당시 나의 모습과 흡사했던 것 같다.

다른 한편, 거대한 촛불은 어쩌면 공장 앞에서, 비정규직의 눈물 앞에서 멈추었고 연대를 하지 못한것도 사실이다.-물론 일부 촛불은 이후 비정규직 문제에 많은 지지와 연대를 했던 사실도 있다- 촛불들은 깃발과 조끼로 상징되는 기존 운동권들을 그토록 싫어 했지만 결국 촛불 역시 노동운동에 대한 고민의 벽을 넘지 못했고, 운동권 역시 소통에 실패했다.

 

어쨌든 촛불들은 민영화 담론이나 각종 사회적 이슈들이 녹아나는 하나의 광장이었음은 분명했다. 당장의 성과가 눈앞에 보이지는 않지만 10대들의 가슴에는 100만 촛불의 기억이 남아 있을 터이기에 촛불의 힘은 여전히 내재되어 있고 긴 역사의 흐름에서 피로써 쟁취해온 민주주의를 공고히 하고 진전시키며, 진보의 길로 나아가는데 좋은 밑거름이 될 거라 믿는다.

 

그래서 <초가 다 녹아내려 다시 불을 붙이려고 잠시 촛불을 껏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