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인지 體仁知 - '경계'를 넘어 '경지'에 이르는 지식의 보물지도
유영만 지음 / 위너스북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體仁知 (유영만)

유영만 교수는 교육학자이고, 본인은 지식생태학자라고 부른다. 다양한 집필활동을 하여 많은 책들을 출간했다. 작년 겨울에 체인지의 출간기념회에 참석을 했었는데 실제 책은 한참 뒤에나 읽게 되었다. 요즈음은 간혹 책을 읽었다고 생각하여 책장에 잠재워두는 일이 흔하게 발생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유영만 교수가 욕심이 대단히 많다고 생각을 했다. 책에 너무 많은 것을 담으려고 했던 것 같고, 그것이 오히려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방해로 작용하지 않았나 한다. 體仁知 라는 좋은 컨셉이 오히려 내용에 묻혀 버린 게 아닌가 한다. 각 챕터에서 독특한 해석과 설명이 나오는데 흥미롭긴 하지만 역시나 너무 많은 내용이다. 하나의 의미를 좀 더 깊게 설명을 했다면 더 훌륭한 책이 되지 않았을까 한다. 體仁知의 개념은 좋지만 그 개념들과의 관계성이 돋보이지 않는다. 좀 더 중언 되는 부문이 있더라도 體仁知 각각을 연결해주었으면 더 마음에 와 닿지 않았을까 한다. 그리고 인용한 내용들은 좀 더 설명을 길게 해주어도 좋지 않았을까 생각을 한다.

좀 삐딱하게 보면 언어의 유희를 즐기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독특한 접근은 신선하지만 너무 많이 이루어지다 보니 기억에 남는 것이 없다. 암기과목 하듯이 외울 수도 없는 노릇이고..

에필로그 내용이 더 쉽게 와 닿는다. 사례가 손에 잡힐듯해서 그런가 보다.

================================================================

책을 본문에서..

p.33. 걸으면서 자신과 대화하고 주변 사물과 대화를 하면 놀랍게도 내면에서 잠자고 있던 내 목소리가 들리고 사물이 말을 걸어온다.

p. 38. 올라가면 내려와야 하고, 내려가면 올라갈 때가 반드시 온다.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이 있고, 내리막이 있으면 오르막이 있는 것이다. 지금 내려가고 있다고 해서 너무 좌절하거나 절망하지 말 것이며, 지금 올라가고 있다고 해서 마냥 즐거워해서도 안 된다, 내려가면 올라갈 때가 올 것이고 올라가면 내려와야 할 때가 반드시 온다.

p. 61. 중요한 것은 무엇을 위해서 왜 그토록 목표를 항해 매진하고 있는지를 깨닫는 것이다. 내가 이 일을 하는 이유, 해야만 되는 이유,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를 알아야 성공만능주의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삶을 살아갈 수 있다. 자신의 존재이유를 아는 사람이라야 자유로운 영혼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p. 94. 처음부터 위대한 작품을 쓴 작가는 없다. 위대한 글도 보잘것없는 글에서 시작된다. 세상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는, 세상사람들의 관심에서 벗어난 숱한 실패작을 양산하는 과정에서 색다른 글쓰기 실력이 쌓인다.

p. 115. 세상에는 평탄한 길만 있는 게 아니다. 먼 곳으로 항해하는 배가 단 한 번의 풍파도 만나지 않고 목적지에 도달할 수는 없다. 풍파는 언제나 전진하는 자의 벗이다. 차라리 고난 속에 인생의 기쁨이 있다고 생각하자. 길이 험하면 험할수록 가슴이 뛸 것이다.

p.150. 세상의 모든 물은 가장 낮은 곳으로 흘러가지만, 수증기로 변신해 다시 가장 높은 곳으로 올라 간다. 낮춤이 높임이고 내려감이 올라감이다. 그래서 가장 낮은 바닥인 바다는 곧 희망이다.

p. 240. 칼을 쓰는 시간보다 칼을 가는 시간이 길어야 한다. 그래야 단번에 승부수를 던질 수 있다. 대패질하는 시간보다 대팻날을 가는 시간이 길어야 한다. 그래야 나뭇결에 따라 아름다운 대패질을 할 수 있다. 기다리는 시간에 내가 무엇을 준비했는지가 기다림의 끝에 맛볼 수 있는 승리의 맛을 결정한다. 

p. 286. 삶은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고 우연히 일어나는 일의 연속인 경우가 더 많다. 우리가 매일 살아가는 삶은 확실한 것보다 불확실한 것이 더 많다.

p. 294. 무엇인가를 달성하기 위해 연습한다기 보다 연습 그 자체에서 재미를 느끼고 의미를 찾는다. 한 단계 한 단계를 더 완벽하게 오를 수 있도록 애쓰는 것이다, 연습이 계속되면 지루하지만, 어제와 다른 완벽에 이르기 위해 과정 그 자체에 자신의 모든 힘과 에너지를 쏟아 붓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