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계급사회 - 누가 대한민국을 영어 광풍에 몰아 넣는가 대한민국을 생각한다 4
남태현 지음 / 오월의봄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어.. 

 

이책은 아주 색다른 관점으로 영어란놈에 대해 논하고 있다.

저자 본인이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에 유학을 하고 현재 미국에서 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니 많은 부문을 본인이 경험했을것이라 의심치 않는다.

 

하나의 언어에 불과한 이것이 한국사람한테는 의식주에 버금갈만큼 중요시되고 스트레스가 되는지는  이해못할 아이러니중의 하나이다.

통상적인 영어가 중요하다 아니다를 따지는것은 논외로 하더라도, 투자대비 결과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는것은 분명한것이 한국의 현실이다.  그렇게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해도 영어잘하는 사람이 많지 않은것이 현실이니..

 

이제까지 영어를 잘해보기위해서 수많은 책들을 보았지만, 이책에서 기술된것처럼 아무리 열심히해도 생각한만큼의 결과를 얻을수 없다는 사실을 들어본적이 없다.

그런말하면 책이 당연히 팔리겠지

모든 책들은 이렇게 이렇게 열심히 하면 유창한 네이티브수준의 영어를 구사할수 있다고 유혹한다.

 

사실 영어를 공부라는 방법으로해서 네이티브수준으로 구사할수 있다는것은 불가능하다고 본다. 그런말을 하는 사람들조차도 유창한 영어를 구사하는지 의심스럽다.

영어로만 직장생활을 10년이상해온 역시 영어는 항상 부담백배다.

하물며 어쩌다 한번 쓰는 영어는 얼마나 생소하고 힘들까?

그런데 그걸 평생동안 끙끙거리며 공부를 해야할까?

 

물론 언어를 익히는것을 즐기는 사람들이 있다. 몇개의 언어를 구사하고 꾸준히 익히는 사람들도 있을것이다 . 그러나 대다수의 사람들은 죽어라 힘들어 한다.

그런데 그걸 해야하지? 아직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 저자의 논리에 많은 공감을 하는 이유중의 하나이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자원은 유한하고, 한사람이 가지고 있는 자원중 가장중요한 시간이라는 자원은 더욱더 유한하다. 그런데 유한한 자원을 별로 중요하지 않은데 써버리면 너무 아깝지 않은가?

 

언어는 언어를 하는 사람에게 맡겨두고, 내가 잘하는 것을 잘하는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그런데 세상은 나한테 그런 자유를 주지 않는걸까?

 

내가 만든 게임룰이 아니라 누군가가 만든 게임룰에서 게임을 할려니 힘든거다.

자전거타고 모터싸이클경주에 참여하는 꼴이랄까

이책은 나같이 이런 이야기를 하고 싶은 저자가 상세한 자료와 함께 저술했다.

공허한 외침이 될지라도 누군가는 이런점을 제기해야된다고 본다.

 

영어에 대한 몇가지 생각들..

 

무엇때문에 영어를 익힐려는 구체적인 생각이 없다면 아예 시작을 안하는것이 좋을듯하다.  답이 없는 문제를 푸는것과 같다.

 

3개월완성, 1 완성..

절대 믿지 않는다. 영어를 익히는것은 양파껍질까기랑 마찬가지다. 끝이 없는 길이다.  우리가 얼마나 한국말을 잘하는지 생각해보면 된다.

 

 

어릴때는 영어를 빨리 배운다는 믿음.. 어른보다는 빠르다는데 공감한다.

그러나 최소 10년은 생활에서 영어를 배워야 모국어처럼 이야기 한다.

조기유학 몇년했다고 영어가 네이티브처럼된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절대 불가능하다.. 주장이 아니라 이건 경험이다.. 개인적으로 두아이를 영어권 교육과정에서 유치원부터 10년이상 시켜보았다.

우리는 종종 부모의 영어수준으로 아이들의 영어수준을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언어는 언어다.

 언어는 수단인데 목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잘하는 초등학생이 정치토론의 내용을 이해 못하는것은 당연하다. 내용이 없는 언어는 무의미 하다. 수단을 익히기 위해 원래의 목적을 잊어버리는게 비일비재하다.

 

영어시험.

한국에서는 모든것을 시험으로 평가할려고 한다.  일부 한국대학에서 초중고를 영어권 학교에서 공부한 아이들에게 토플성적을 달라고 한단다.  미국대학에서는 이런애들에게 토플성적달라는 요청 안한다.  영어잘하는애들을 뽑을려면 영어가 모국어인 애들 뽑으면 될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