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행할 권리
김연수 지음 / 창비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2년간 자취 생활을 하면서 얻은 즐거움이 있다면 저녁 때 쯤 하릴없이 동네를 한 바퀴 도는 것이었다. 그렇게 마트도 한 바퀴 돌고, 그 위에 있는 대형 문구점도 한 바퀴 돌고 마지막으로 꼭 들리는 곳이 춘천에서 꽤 큰 규모의 서점이었다. 언제나 소설책을 훑어본 다음에 여행 서적이 있는 곳으로 발길을 돌리곤 했는데 그때 책 제목보다 그의 이름이 더 먼저 띄었다.
그렇다. 난 그때 이미도 김연수 작가를 심하게 편애하고 있었다. 책 제목 조차 '여행할 권리'라고 했다. 그래! 우리 모두 여행할 권리가 있어. 이렇게 지루한 일상을 벗어버리고 떠나는거야!' 라는 생각을 하며 두말 않고 책을 샀다. 아.. 책의 겉표지 조차 어찌나 가슴을 설레이게 만들었는지. 새벽 미명같기도 하고 어두운 밤 같기도 한 쭉 뻗은 도로에 덩그러니 여행 가방이 하나 놓여져 있었다. 지금이라도 당장 누군가 나를 저 아무도 없는 곳에 떨어뜨려 준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집에와서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김연수 작가의 여행기록이라기보다 그가 만난 사람들과의 이야기, 그가 쓰는 소설의 무대가 되는 이야기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아무래도 상관없다. 오히려 그의 소설 속에 등장하는 곳에 대한 이야기가 더 흥미롭게 다가오기도 했다. 그리고 그렇게 그의 발자취를 따라 가던 중 한 문장을 만나게 되었다.
'그게 다 외로움 때문이다. 외로움은 멧돼지처럼 힘이 세다. 꼼짝 못한다.'
난 그 문장을 스무 번 정도 반복해서 읽었고 얼마간 다음 장으로 넘기지 못했다. 김연수 작가도 외로움을 느끼고 있었다. 그것은 내가 춘천에서 느끼고 있던 외로움과 같은 색깔이었을까? 그것이 비록 다른 빛깔의 외로움이라고 할지라도 그 외로움의 무게가 멧돼지처럼 무거웠다는 것은 김연수 작가도 나도 느끼고 있었다. 그는 여행길에서, 나는 일상에서 느끼고 있을 뿐.
우리는 많은 이유를 안고 여행을 한다. 여행이 누구에게나 대단한 의미이고, 인생의 전환점일 수는 없다. 여행 자체가 인생의 전환점이 될 수는 없다. 여행에서 경험한 것이, 그것을 통해 바뀐 나의 태도가, 나의 가치관이 전환점을 만드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한번쯤은 여행을 꼭 해야할 의무가 있고, 그럴만한 권리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여행할 권리라는 책은 그것을 읽는 것 만으로 외로움의 무게를 덜어주고, 여행에 대한 목마름을 어느 정도 해소시켜줄 수 있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