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_주의 알마 해시태그 1
박권일 외 지음 / 알마 / 2016년 12월
평점 :
품절


지금 시대를 살아가면서 많이도 들은 단어가 혐오인것 같다.

해시태그를 통해 혐오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얇지만 가득한 책을 만났다.

혐오라는 단어는 나쁘게만 인식이 되어 있는데 왜 그런것일까?

혐오는 나쁜것일까?

책이서 혐오는 증상이라고 말한다. 문제의 원인이 아니라 단지 증상일라고 말한다.

혐오라는 표현에 대해 법이 개입을 하고 그 경우에 형사적 제재의 형벌의 방식,

민사적 제재의 손해배상의 방식, 차별시정의 방식등이 있고

그방법에 대한 구체화를 우리에게 알려주면서 혐오주의가 어떤것인지 알려준다.

혐오주의라는것을 알게 되고 그 단어를 많이도 듣게 된건 뉴스에서 나온

사건들에 원인이 혐오라는 것에서 시작을 했고 그것이 무엇이기에

그런 사건들을 일으키는것인지 정말 궁금하기도 하고 무섭기도 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책이 끌렸나보다.

우리는 너무 쉽게 김여사, 금수저, 흙수저, 헬조선 등의 언어를 쓴다.

그 말들이 혐오라는 증상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무심코 이런 말들을 사용하지만 그리 좋은 말은 아닌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책속에서 정치혐오, 여성혐오 등의 글을 보면서

법적처벌의 관점으로 다루면서 이야기를 하고 있는것 같다.

혐오라는 단어를 보면서 나는 세월호를 떠올렸다.

그 사건(?)으로 정치인이고 대통령이고 그외의 사람들에게 혐오라는 단어를

떠올리게 되기도 했고 분노를 일으키고 있음을 느꼈다.

얇은 책을 읽으면서 참 많은 것을 알게 되고 느끼게 되고 이것들을 표현하고 싶은데

그 표현 방밥이 너무 어렵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그리고 더이상은 사회적으로 더이상 혐오라는 말을 듣지 않고

어떤일도 일어나지 않았음 한다는 생각을 들게 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