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메트로
카렌 메랑 지음, 김도연 옮김 / 달콤한책 / 2016년 3월
평점 :
품절


지하철은 많은 사람들이 오고 가는 곳이다.

그렇다보니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나에게도 지하철에 대한 기억이 있어서인지 안좋은 기억이 있어서인지

이책이 나의 기억을 조금이나마 좋게 만들어주기를 바라는 마음에

이책이 눈에 들어왔고 표지를 보기만 해도

뭔가 재미있는 이야기를 담고 있을것 같아서 기대가 되었다.

처음에 이책이 에세이라고 생각을 했는데 이책이 소설이라는 것에 조금 놀랐다.

이야기는 지하철의 노숙자와 화장품 회사에서 일하는 마야와의 이야기이다.

이런 마야의 모습이 작가인 카렌 메랑의 실제모습과 비슷하다고 한다,

그래서 이책이 에세이라고 생각을 한것이지만 말이다.

지하철은 우리가 가까이에서 이용하는 교통수단들 중의 하나이고

그렇다 보니 여러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곳이다.

그런곳인 지하철에서 작가는 사람들을 보고 노숙자나 구걸하는 사람들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어서 이책을 썼다고 한다.

책속에서의 마야의 모습을 보고 노숙자들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우리는 마야와 같은 시선을 가지고 사람들을 그것도 우리보다 못하다고

생각하는 노숙자들을 봤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고

그만큼 우리는 자신의 일에만 빠져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요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중에서

지하철에서 책을 읽는 사람이 없다고 한다.

사람들은 다들 스마트폰을 본다고 자신의 눈앞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그만큼 노숙자는 우리들의 시선속에 머물지 않는다.

소설을 통해 지하철의 인식이 다시 변하고 나보다 약한 사람들을 보는

시선에도 신경이 쓰이는것 같다.

그만큼 마야의 시선을 일상속에서 따뜻함으로 다가오는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