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화 - 1940, 세 소녀 이야기
권비영 지음 / 북폴리오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덕혜옹주로 우리에게 알려진 권비영 작가의 신간이다.

덕혜옹주를 읽으면서 처음 덕혜옹주에 대해 알게 되었고

그 덕분에 역사속에 존재하는 덕혜옹주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이번엔 강제 징용과 위안부에 대한 이야기...

우리 역사속에 존재하는 또 한부분의 아픈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영실이라는 소녀가 나오고 영실의 아버지는 주재소 순사를 때리고 만주로 도망간다.

영실의 어머니는 국밥을 하고 있는 이모에게 영실을 맡기고 떠난다.

그곳에서 만난 은화와 정인이와 영실은 친구가 된다.

은화는 기생이 되게 될 처지에 있고 정인의 아버지는 일제 앞잡이이다.

이렇게 뭐 하나 같은것이 없는 세사람은 친구가 되고 이별을 하게 된다.

얼마전 귀향이라는 제목의 영화를 봤다.

그 속에 나오는 우리나라의 소녀들의 처참하고도 비참한 모습에 눈물보다는

화가 나고 그런 소녀를 지키지 못한 나라에 분노하고

일본군에게 분노가 생겨서 화가 나면서도 가슴이 아렸던 기억이 있다.

그리고 그 기억은 아직도 내 머릿속에, 가슴속에 남아 있다.

그렇게 영화를 보고 난후에 위안부라는 단어가 너무 가슴이 아프고 싫었다.

몽화는 강제징용이라는 것과 위안부라는 우리의 지울수 없는 역사속 이야기를 하고 있다.

너무도 어린 나이, 아무것도 모르고 일어난 일들에 우리나라의 어린 소녀 소년들,

그리고 어른들은 상처를 받았고 그 상처는 평생, 아니 죽어서도 씻을수 없는것 같다.

이름도 없이 그냥 그렇게 살다가 가버린 이들도 많을것이라는 걸 알게 되고

이야기를 읽는 동안 분노도 일었지만 그보다 가슴시림과 아림이 더 많았다.

절대 잊어서도 안되고 절대 용서할수도 없는....

이제 얼마 남지 않은 할머니들이 돌아가시기 전에 꼭 일본의 사과를 받았음 좋겠다.

그래야 죽어서도 한이 남지 않고 편안하게 잠드실수 있을것 같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