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름다운 집 ㅣ 일루저니스트 illusionist 세계의 작가 29
손석춘 지음 / 들녘 / 200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에는 이진선이라는 한 혁명가의 인생역정이 스무 살 시퍼런 청년의 시기부터 일흔이 넘기까지의 삶이 일기형태로 빼곡히 담겨져 있다.
일제치하 연희전문에서 만난 윤동주, 일본 유학시절의 황장엽, 빨치산 투쟁의 이현상, 남로당 시절의 박헌영 등 우리나가 근현대사의 걸출한 인물들이 이진선의 삶과 교차되어 한 편의 대하드라마를 보는 듯 하다. 간간히 님 웨일즈가 쓴 아리랑의 김산이 떠오르기도 하였는데, 이진선의 삶이 안타깝고 애닯은 것은 그가 진정 순수한 사회주의 혁명가였고, 해방 이후 북한의 변질 속에서 몸부림치며 괴로워한 지식인이었다는 점이다.
사랑하는 부모와 처자식의 죽음을 겪고 같은 길 가던 동지들마저 비참하고 억울한 죽음으로 모두 앞서 보낸 뒤에도 결코 늙을 수 없는 이 혁명가는 그가 꿈꾸는 '아름다운 집'을 지어 사랑하는 이들앞에 보여주겠노라는 희망이 있었기에 꿋꿋하게 남은 생을 살아낼 수 있었다. 그러나 집권 이후 시대착오적 봉건지배체제를 구축하려는 김일성 지도부에 이진선은 끊임없이 갈등하고 괴로와하며 인생의 후반부를 살아나간다.
다만, 참으로 다행이고 또 다행인 것은 비록 지천명의 나이를 지나서이지만 그의 일생의 두 번째 여인인 최진이와 재회하게 된 것이다. 최진이마저 없었다면 이진선의 말로가 얼마나 외로왔을 까. 칠순의 나이에도 이진선은 비참한 현실에 끊임없이 좌절하면서도 다시 희망하고 꿈꾸기를 멈추지 않는다. 바로 그 점이 너무나도 안쓰러웠다. 이 가슴 따뜻한 노혁명가가 일흔이 넘은 나이에 손주에게 얼음보송이 사주려고 아껴두었던 돈까지 탈탈 털어서 최진이에게 금반지를 선물한 대목에서는 기어이 눈물을 떨굴 수 밖에 없었다.
민족해방을 위해, 또 해방 뒤 통일조국을 위해 소중한 한 목숨 기꺼이 바친 혁명가들 앞에 한반도의 오늘이 어떻게 비춰질지 모르겠다. 일제치하에서는 일신의 안일을 위해 친일했던 자들이 해방 후에도 역시 기득권을 이어가는 이 땅의 현실이 얼마나 어이없고 원통할까. 다만 이 한 권의 책으로 이름없이 사라져간 그들 앞에 다소나마 위안이 될지도 모르겠다.
나 지금 어디에 있는가
그리고 우리 지금 어디에 있는가
- 1938. 4.1. 이진선 일기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