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의 노래 (1.2권 합본) - 우리 소설로의 초대 4 (양장본)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저는 김훈이라는 작가가 누군지도 모르고서 칼의 노래를 읽었습니다. 제가 소설을 안 좋아하는 편인데, 칼의 노래는 읽는 내내 읽는 재미가 있었습니다. '작가 김훈의 문장이 아름답다.'에 동의합니다. 그러나, 김훈의 문장은 사회과학-사상적 깊이의 힘은 약한 편입니다. 화가에 가까운 감성으로 글을 쓰는 듯합니다. 칼의 노래에 나타난 김훈의 문체는 거의 소설의 화자 자신을 대상으로 삼은 독백체 비슷한 것 같습니다.

문장 자체의 아름다움은 담겨 있지만, 현실 문제 해결력으로서는 무의미한 '유희'적 문장들이 꽤 있습니다. 즉, <칼의 노래>는 소비와 유희적 글쓰기로서 훌륭한 작품입니다. 여기서 '유희적'이라는 저의 단어는 부정적 의미는 없고, 단지 자칫 잘못하면 생산적인 것만을 우월시하기 쉬운 산업주의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 만족과 행복을 충분히 즐길 것을 일깨운다는 면에서의 한정적 가치를 갖는다는 뜻의 용어로 사용했음을 밝힙니다.

아울러, 칼의 단순성이라는 미학에는 전체주의로 흐를 위험도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습니다. 물론, 저자의 글 자체에 전체주의적 색채가 드러난다고 지적할 만한 부분이 있다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모든 단순성과 순결하고 고결한 영웅성을 찬양하는 노래에는 언제나, 사변적 반성을 통한 개인과 소수의 존중 노력을 탐욕적 권모술수의 복잡함이라고 치부하며 무시해버리는,전체주의적 위험이 도사리고 있으니 조심하자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관련되는 대목으로 선조 임금과 문관 출신 장군인 권율을 백성과 국가의 공적 이익 대신 자기자신의 사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노회한 탐욕적 정치가로 묘사하는 장면이 책에 나옵니다. 백성과 나라를 걱정하는 이순신 개인의 순수성과 고결함을 그가 무관이었다는 점에서 칼의 단순성과 연결시킴으로써, 탐욕적 부패 정치인이라는 권율 개인의 고집과 편견을 그가 문관이었다는 점에서 권모술수적 잔머리의 복잡성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하는 효과를 일으키게 됩니다.

이는 다시 복잡하고 현란한 언변을 이용해 개인의 영달만을 추구하는 사변적 문관의 부정부패 이미지를 연쇄적으로 연상시켜, 단순하게 애국애족하는 실천성이야말로 중요하다고 치켜세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진리는 단순하며 중요한 것은 단순한 진리의 용감한 실천이다'라는 주장은 다수의 검증되지 않은 직관과 편견을 과격하게 밀어붙임으로써 소수와 개인의 권리를 존중하려는 노력에서의 사변과 보편성 추구를 '공동체'를 배신하는 이기주의라고 몰아가게 되기가 참 쉽지 않습니까?

저의 부정적 경고가 약간 강조되긴 했지만, 이 책은 불가항력적인 참담한 역사 앞에서 개인의 처절한 실존적 고민을 아주 유려하고 아름다우며 다소 몽상적이기까지 한 탐스러운 문체로 이야기해준다는 점에서, 아직 김훈이라는 작가를 모르시는 분들이라면 특히나, 한 번쯤 꼭 읽어볼 만하다는 점을 밝혀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