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전자와 생명의 역사 - 과학문화 총서 1
킴 스티렐니 지음, 장대익 옮김, 최재천 감수 / 몸과마음 / 2002년 1월
평점 :
품절
평소 관심은 많은데 명확하게 알기 어렵던 현대 진화생물학계논쟁의 흐름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소개해준좋은 책이었다. 책은 얇고 활자도 크며 디자인도 깔끔해 읽기는 편하나,분량에 비해 가격이 비싼 편이긴 하다.그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현대진화생물학계에는 한동안각각 리차드 도킨스와 스티븐 제이 굴드를 필두로 하는두 가지 입장이 치열한 논쟁을 벌였다고 한다.
생명의 역사를 해석할 때, 생명의 역사적 흐름을 결정짓는중요한 요인이나 과정이 무엇이며 어떤 성격이냐 하는 것과또 현대진화생물학이 중점적으로 밝혀야 할 연구주제가 무엇이냐에 대해도킨스 쪽과 굴드 쪽이 크게 논쟁을 벌이고 있다.다윈으로부터 이어진다고 할 수 있는현재의 주류적 진화생물학의 대표자가 도킨스라 한다면,그런 주류가 걸핏하면 울거먹었던 '적응에 의한 자연선택'을비판하며 대립적 논지를 펼치고 있는 쪽의 대표자가 굴드라 할 수 있다.(도킨스는 영국의 옥스퍼드에서 근무하고,굴드는 미국의 하바드에서 일한다.)도킨스는 기본적으로 생명의 역사를 제한된 생존 환경(- 경제학 용어로 예산제약)이라는 조건 아래에서경쟁적인 복제자들이 적응(- 경제학 용어로 최적화)을 통해다음 세대로 복제자 자기 자신을 좀더 많이 복제시키려는 운동으로 바라본다.
반면에 굴드는 전체 생명의 역사에서역사 흐름의 큰 물줄기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그런 '국소 개체군 내에서 점진적으로 일어하는 적응의 누적'이아니라고 말한다.주변 환경이 갑작스럽게 크게 변경되어 일어나곤 했던'대멸종' 사건이나 과정이야말로정말로 생명의 나무의 큰 줄기 방향을 결정지은 중요 요소라고 한다.고생물학자인 굴드는 그 주장의 실례로 화석 연구를 통해 밝혀진고생물들의 대멸종과 신종 출현 반복 현상을 들고 있다.
언뜻 들었던 생각은,도킨스는 함수에서 모든 점들이 매끄럽게 이어지는 함수처럼어떤 연속성을 중요시하며 강조하는 반면에굴드는 그러한 연속성 강조 이면에는 연속성을 떠들어대기 좋아하는 학자들이 마치 종교인들이 신비를 여기저기 갖다 대며 감격하기 좋아하듯이무분별하게 연속성 딱지를 붙인 대목이 많다는 것을 지적하면서불연속성을 강조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