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 - 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
알버트 라즐로 바라바시 지음, 강병남 외 옮김 / 동아시아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론(- 동아일보)과 인터넷 서점의 요란한 서평에 힘입어 안심하고 구매한 책이었는데,
결과적으로 영 느낌이 시원치 않다. 선전과 달리, 일상언어로 심오하고 중요한 이론들을 쉽고 자세히 설명하거나, 강력하고 상세한 모델을 제시한 후 그 모델을 통해 일상의 사례들을 정치하게 설명하거나 하지 않았다.

요컨대, 이론 자체의 충실한 소개에도 실패했고, 강력하고 새로운 최신 이론 입문과 그 모델의 효과적이고 놀라운 응용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보여주기에도 실패했다.

전반부에서 잠깐 이론 자체에 대한 설명이 나온다; 다만, 이론 자체에 대한 설명도 사례 중심적 소개법으로 접근하고 있어서, 무언가 감추어져있다는 느낌을 남긴다. 즉, 바라바시는 자기가 알고 있는 네트워크에 대한 수학적-물리학적 이론을 최대한 충분히 자세하게 인과적 메커니즘 설명 방식으로 소개했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하고 인상기적 사례 제시와 짤막한 이론 소개로 그치는 경우가 많다.

다음으로 후반부에서는 다양한 분야에 네트워크 이론이 어떻게 적용되어 효과적으로 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데, 이 분석적-응용적 이론 적용 역시 그리 효과적이지 못하다. 우선 이론 소개 자체가 자세하지 못하다보니 응용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나 개념 또는 관계적 도식들 역시 모호하거나 단순하다; 즉, 개념과 용어들의 관계가 그 내적 인과 메커니즘이나 외부 충격의 전달경로를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길지 못하다.

네트워크 이론은 대략 네 가지가 소개된다; 초창기 모델인 에르되스-레니의 무작위적 네트워크 이론, 와츠-스트로가스의 클러스터링 모델, 허브의 존재와 멱함수-분포함수 법칙이 특징인 척도없는 네트워크 모델, 그리고 승자독식(Winner-takes-all)이나 후발주자의 급속 성장이 특징인 적합성 모델이 바로 그것이다.

네 가지 모델들에 대한 바라바시의 설명은 나름대로 충분히 그 모델들 사이의 비슷한 점과 차이점들, 그로 인한 결과들을 포괄하고 있기는 하다. 다만, 문제는 모델들의 속성에 나타나는 그 비슷함과 차이들, 그리고 그로 인한 결과들에 대해 유기적이고 강한 인과 관계를 잘 보여주는 법칙-규칙적 관계-함수-알고리듬을 효과적으로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각주에 간혹 수학적 함수 형태가 제시되기는 하나, 전체 모델의 형태를 드러내 보여주지 않았다는 점과 모델에 사용된 구성 요소 방정식들 각각의 의미를 충분히 설명하지 않았다는 점이 치명적인 약점이라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