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글이 만나는 예술수업 예술 너머 1
임지영 지음 / (주)학교도서관저널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술은 우리에게 감동을 줍니다. 예술에 대한 본격적인 입문은 2019년 2월에 나온 <봄 말고 그림>을 보고나서였습니다. 일반인들의 눈높이에 딱 맞는 예술 에세이를 이제서야 찾았구나 싶었습니다. 그때만 해도 서양미술사 중심의 지식을 전달하거나, 미술평론가의 뻔하고 어려운 이야기를 하는 책들뿐이어서 예술 입문에 매번 실패하던 시기였습니다.


2018년에 8월에 나온 <방구석 미술관>을 접하기 전이라 더 그랬습니다. 이 책은 주제별로 쉬운 이야기로 아주 히트를 친 책입니다. 작년에 이 책이 100쇄를 돌파할 정도였고, 2편까지 출간된 걸 보면 잠재되어 있는 미술 애호가들이 그만큼 많았다는 반증입니다. 미술이 우아하고 고상한 사람들의 전유물이 아니라고 하는 건 이 책 <봄 말고 그림>에서도 얘기하고 있습니다.


예술이 그들만의 리그가 아니라 내 앞에 존재하는 삶이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그래서, 예술은 추앙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도구일뿐이라고까지 말합니다. 갤러리를 10년이나 운영했던 사람으로서는 자칫 예술에 대한 폄훼로 들릴 수도 있는 말을 하는 게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더 많은 사람들이 예술의 세계로 입문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문턱을 낮추려는 의도라 생각합니다.


'아는 만큼 보이는 것이 아니라 보이는 만큼 느끼면 된다'는 말도 너무 좋습니다. 우리는 너무 지식강박에 빠져 있습니다. 이성과 논리는 넘치고, 감성은 결핍되다 못해 소진되어 있습니다. '향유자'라는 말도 좋습니다. 우리는 즐기기보다는 어딘가에 써먹어야 한다는 효율과 경제 논리에만 빠져 있습니다. 문화와 예술은 속도전이 아니라 여유에서 비롯됩니다. 아는 척하기 위해서 예술이 존재하는 게 아니죠.


예술 향유자를 위한 그림 감상법은 올 봄에 <느리게 걷는 미술관>이 후속으로 나왔고, 이번에는 본격적인 그림 활용법에 대한 책이 나왔습니다. <그림과 글이 만나는 예술수업>(학교도서관저널)입니다. '그림과 글이 만났을 때'는 다르게 표현하면, 미술과 문학이 만나는 일이기도 합니다. 이미지 예술과 문자 예술의 대표 장르가 융합된 프로그램이 바로 이 예술수업입니다. 이제 막 공부를 시작한 초등학생부터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20대, 은퇴한 시니어까지 모두에게 유용하다는 게 이 프로그램의 장점입니다.


아이들에게는 예술적 상상력과 인문적 창의력을 키워줍니다. 그러니, 학부모로부터 '세계관 교육'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성인들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까지 살아왔던 이성의 세계에서 벗어나는 계기를 만들어줬다고 말합니다. 그러니 '인생관 수업'이라는 후기가 나오기도 합니다. 문학이나 영화 등을 통해서 자신을 성찰하고 관조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책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림은 자기 자신을 성찰하게 하기도 하지만, 표현 욕구를 불러일으키기도 합니다. 그림에 소질이 있을 필요는 없습니다. 이미지에서 영감을 떠올리고, 잠재되어 있는 감성을 깨우면 됩니다. 그림을 보고, 글을 쓰는 걸 함께 하는 이유입니다. 수렴과 발산, 응축을 순차적으로 하게 됩니다. 이미지의 시대입니다. 감성의 시대입니다.


"예술 감성 교육은 바로 그 감동을 연습하는 것입니다. 그림 한 점 앞에서 그 색감이 주는 다채로운 감정을 느껴보는 것, 그 형태가 주는 다양한 이야기를 떠올려보는 것, 그 순간이 주는 특별한 감흥을 감각해보는 것. 감성을 쌓고 길러 일상에서 더 많이 더 자주 행복해지라고 우리는 예술에 다가가는 것이죠." - 에필로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