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등에
에델 릴리언 보이니치 지음, 서대경 옮김 / 아모르문디 / 2006년 4월
평점 :
오해와 질투,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과 출생의 비밀.
급기야는 아버지가 아들을 죽일 수밖에 없는 상황 설정과 비극적인 결말.
이 책은 굳이 이탈리아 통일 운동에 대한 기본적 지식이 없더라도 여러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좋은 소설이었다.
증오는 사랑의 다른 이름이라는 것.
절제할 줄 아는 사랑이 더 절절하다는 것 등등.
주인공 아서가 읊어대는 대사는 시대가 요구하는 진정성의 힘을 보여준다.
타락한 종교와 권력에 맹공격을 가하지만 가슴에는 뜨거운 피가 흐르는 아서라는 캐릭터는 진정한 혁명가의 모습 그대로이다. 그러나 그런 캐릭터는 결코 오랫동안 살아남아 우리 곁에 남아 있을 수는 없나 보다. 마치 이 세상이 완전히 평등해지는 것이 불가능한 것처럼...... T.T
100년 전에 씌어진 이 소설을 읽으면서 지금 가슴 깊게 공감할 수 있는 것은 아직도 진정한 혁명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은 아닐까?
음... 혁명은 돌고 돌고 돌고.....
“아, 하지만 전 싸우고 싶어요. 싸움이 없는 삶은 참을 수 없어요. 좋은 싸움은 세상의 소금과도 같은 거니까요. 서커스보다야 훨씬 낫지요.”
-189쪽
“전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그것이 어떤 형태의 것이든 무의식적인 습관은 모두가 해로운 노예근성의 산물이에요. 게다가 폭력에 대한 습관은 야만적이기까지 하죠.”
-235쪽
“신부님, 당신의 예수그리스도는 사기꾼, 협잡꾼일 뿐입니다. 그의 상처는 가짜 상처이며, 그의 고통은 웃음거리에 불과합니다.”
-36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