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
한국문화인류학회 엮음 / 일조각 / 200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인간에 대한 관심은 인간이 사라지지 않는한 계속되지 않을까?

대학생활내내 고민했던 문제 중의 하나, 그리고 지금까지도 고민하는 문제 중의 하나가 인간관계이다. 어떻게 하면 인간들이 모여사는 사회에서 잘(?) 생활해 볼 수 있을까?

이런 관심은 자연히 혹은 막연히 인간, 사회, 문화, 심리와 같은 관심으로 이어졌다. 이런 것들에 대해서 공부하면서, 인간관계가 좋아지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희망을 가지며...

나 혼자 무엇가를 알아가는 것보다는 선배들이 쌓아 놓은 지식을 얻는 것이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인 관계로 이런 저런 책들을 뒤적이기 시작했는데 그중에 하나가 문화인류학관련 서적이다.

문화인류학이란 인류학의 한 갈래로 여겨지는데, 사실 그동안의 인류학 관계서적은 크게 두부류였던 것 같다.

단편적인 에피소드를 저자의 경험과 곁들여서 전달하는 수필류의 서적이거나 아니면 흔히 우리가 대학교재라고 부르는 것이거나 아니면 전공자를 위한 서적이었다.

인간과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어떠한 체계화된 지식을 얻고자 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위의 두부류는 접근하는데 있어서 너무 가볍거나 혹은 너무 무겁거나 하였다. 그리하여 나의 시도는 늘 제자리를 맵 돌곤 했었는데...

그런 점에서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은 초심자에게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 책이다.

인간과 문화에 관한 중요한 주제들(인간진화, 성, 민족, 가족, 혼인 등등), 그리고 우리가 평소에 한번쯤 궁금해 했던 주제들에 대해 거의 빠짐없이 다루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커다란 장점이다.

그리고 그러한 주제를 실제적인 예를 통해 언급함으로서 어떻게 현실에 적용가능한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 또한 장점이다.

즉 우리가 현실에서 경험했고 고민했던 많은 문제들(불평등, 아름다움, 몸, 종교, 차이 등)이 어떻게 분석되고 이해될 수 있는 지(아하! 그렇구나라는 감탄사를 발하게끔 해준다)를 보여준다는 사실이다.

흔히 여러 명의 집필진이 책을 집필할 경우 필자의 역량에 따라 글이 들쑥날쑥하기 마련인데 이 책은 거의 그런 점이 느껴지지 않는 것은 집필진들이 얼마나 이 책에 공을 들였는가를 말해주는 것 같다.

끝으로 인간에 대한 관심으로 인간을 이해한 후 그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사뭇 궁금해진다. 그 답은 과연 각자의 몫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