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 수면과 꿈의 과학
매슈 워커 지음, 이한음 옮김 / 사람의집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한국인의 수면 실태 보고에 따르면, 수면의 질이나 양에 만족하는 비율은 글로벌 평균의 약 75% 수준에 머물렀고 수면 장애나 불면증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약 678000명으로 증가 추세입니다. 무엇보다 하루 평균 수면 시간도 6시간 27분으로 조사 국가 중 네 번째로 수면이 부족했고, 스스로 평가하는 수면의 질은 가장 낮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소위 잠은 죽어서 자라라는 말처럼 학업이나 직장 업무, 자기계발 등을 위해 잠을 줄여서까지 하는 게 이제는 한국인의 보편적인 문화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지만 수면이 줄어들면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을 알면서도 당장 와 닿는 부분이 아니라서 중요하게 느끼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 역시도 어릴 때는 잠을 적게 자고 공부나 일을 더 하려고 했는데 피로 누적과 어지러움,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 때문에 7~8시간은 수면하려고 노력을 하니 그런 증상 들이 줄어들기는 했습니다.

 


이런 수면에 대한 근본적인 부분을 알고 싶었는데 최근에 매슈 워커의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를 통해 수면의 중요성과 다양한 관점을 알 수 있어서 유익했습니다. 책에서는 잠의 정의부터 잠을 자야 하는 이유, , 사회로 구분하여 소개하였습니다. 잠에 대한 기초적인 상식만 알고 접근했는데 기대 이상으로 잠이 뇌에 주는 영향력이나 수면 부족에 따른 신체적 문제, 꿈에 관한 놀라운 사실, 잠을 해치거나 돕는 방법 등 여러 실험과 통계 결과를 통해 많은 걸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 교육 분야에 일을 하고 있다보니 수면 시간과 시험 결과의 비례에 대해 긍정이나 부정의 사례들이 있는데 책을 통해 충분한 수면이 중요하다는 걸 다시금 느끼게 되었습니다.

 

본 포스팅은 네이버 카페 문화충전200%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