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 上 - 신화적 상상력으로 재현한 천 년의 드라마
스티븐 세일러 지음, 박웅희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두꺼운 책을 붙잡고 있자니, 우선 짧지 않은 호흡이 다소 무겁고 부담스러운 게 사실이다. 역자후기에 로마고대사 연표까지 포함해 전체 분량이 383쪽인 이 책을 주말 이틀을 포함한 사흘쯤을 끙끙대고서야 다 읽었다. 예전엔 소위 "대하소설"이라고 불리우는 장편소설을, 10여권이 넘어가는 그 작품들을 재미있어 하며 읽곤 했었는데 말이다. 최근 들어 이렇게 긴 이야기책을 붙든 기억이 가물하다. 그런 대작들이 사라진 것인지, 내가 관심을 가지지 않아서인지, 그러고보면 요 몇 해 눈에 띄는 대작들이 없는 듯도 하다.

 

  이 책 [로마]는 내 오랜 숙제와도 같은 "역사"에 대한 욕심 때문에 읽어야겠다는 욕심이 든 책이었다. 책을 펴들고서야 알았지만 글쓴이 "스티븐 세일러"는 이미 "로마 서브 로사  Roma Sub Rosa"라는, 10권짜리로 된 로마역사에 관한 책으로 이미 유명한 사람이다. "텍사스 대학교에서 역사와 그리스 - 로마 고전을 전공하고 히스토리 채널에 전문가로 출연하기까지 평생 로마에 매료되어 살아왔다."(책 앞날개)는 그에 대한 소개글은, 이 책의 재미와 역사학습의 효과를 보장하는 것 같다는 생각을, 책을 펴 들고서 했다.

 

  음... 이 책의 성격을 어떻게 분류해야 할까...? 인터넷 서점의 분류를 살펴보자면, 각 서점별 분류방식은 약간씩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역사 - 서양사 - 로마사"의 카테고리에 이 책이 들어가 있다. 그러니까 이 책을 "정통 역사서"로 분류하고 있는 듯 하다. 그러나 내가 보기에 이 책은 사실을 바탕으로 한 소설에 가까운 듯 하다. 그러한 성격은 제목에서부터 이미 드러나 있지 않은가. "신화적 상상력으로 재현한" 이야기라고....

   권에서는 후기 청동기 시대에 해당하는 BC1000년, 그러니까 "로마"가 탄생하기 전부터의 역사를 이야기하는 것으로 시작해 BC300여년에 해당하는 부분까지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上권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약 700년이라는 아주 긴 시간 동안에 해당하는 이야기이고, 아울러 등장인물이 매우 많은데다 등장인물의 이름이 익숙해질만하면 그 다음 세대의 이야기가 전개되는 통에 읽기가 재미있지만은 않았다.  그러나 로마라는 도시가, 국가가, 왕국이, 공화국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에 대한 오랜 궁금증이 있었는데 책을 읽으며 그 중 상당부분이 해결된 것이 이 책을 통해 내가 얻은 성과이리라. 사실 늑대젓을 먹고 자랐다는 두 쌍둥이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이야기가 무척 궁금했었고, 그들이 어떻게 하여 로마의 건국자가 되었는지도 궁금했었다. 글쓴이는 그 전설에 대해 "아카 라렌티아(암늑대)"(p84)라는 말의 뜻을 풀이해 전설이 아니라, 사실은 이런 이야기가 아니었을까 하고 제시해주고 있는데 상당히 설득력 있는 부분인 것 같다. 그리고 두 형제 사이의 갈등과정에서 레무스가 살해되고, 초기의 왕정사에 대해서도 비교적 상세히 이야기해주고 있다. 로마의 정치에 대해서는 공화정에서 제정으로 바뀐 것에 초점을 두어 배워왔는데, 로마 초기의 왕정이 왜 공화정으로 바뀌어갔는지를 이 책을 통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이야기 흐름의 중심축은 전설상의 시대로부터 기원한 호신부 "파스키누스"를 계승해가고 있는 포티티우스 가문과 그의 친척이면서 라이벌 가문이 되는 피나리우스 가문의 사람들이 중심이 된다. 上권을 읽으면서 이 책은 下권에서 이야기할 "주요"사건과 인물들을 이야기하기 위한 배경상황 설정이라는 생각이 든 것은, 내 기대보다 진도가 빨리 나가지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겠다. 이제 "주요 사건과 인물"들을 만나러 下권으로 가야겠다.

 

 

 *해당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