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설헌 - 제1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최문희 지음 / 다산책방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마음 한 켠이 먹먹하다.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계절 때문일까. 오늘에서 내일로 넘어가는 이 시간이 주는 무거움 때문일까.  아니다. 사실 방금 덮은 책 때문이라는 걸 알면서도 괜한 핑곗거리를 찾았다. 이 먹먹함을, 방금 읽은 글 때문이었다고, 글 속의 한 여자 때문이라고 말하기가 싫었으니까. 소설 한 편에 기분이 이렇게 가라앉을 감수성은 이미 오래 전의 것이 아니던가 싶어서 멋쩍은 탓도 있다.

 

   [난설헌]을 읽었다. 사실 허난설헌의 이야기는 두어해전에도 소설로 읽은 적이 있어서 굳이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펴든 이유는 "혼불문학상" 수상작이라는 수식어가 주는 기대감이 더 컸기 때문이다. 소설 [혼불]을 읽어보지 못했다. 최명희라는 소설가에 대해서도 모른다. [혼불]이라는 그 책이 그렇게 유명하다니까, 소설가 최명희의 정신을 기린다는 문학상까지 있다니까 대단한 작품이었나 보다 하고 짐작하는 수준일 뿐. 이 책 [난설헌]은 혼불문학상 1회 수상작이라 한다. 수상자의 이름이, 문학상을 통해 기리고 있는 소설가와 비슷해서 호기심도 있었다.

 

   나는, 난설헌이라는 호를 사용했던 허초희라는 이 여자가, 싫다. 지난 번에 읽었던 그녀에 관한 소설을 통해서도 그랬지만 이번에 읽은 이 책 [난설헌]을 통해 또다시 만난 그녀에게 호감이 가지 않는다. 물이 맑으면 고기가 모이지 않는다 했던가... 난설헌이 그런 사람일 것 같다. 글을 통해 만난 그녀는 너무 맑다. 너무 차갑다. 너무 단정하다. 너무 고고하다. 너무...

 

   나는 이 책을 통해 "그미"라는 대명사를 처음으로 접했다. 이게 무슨 말인가 싶어서 검색을 해보니 "[대명사] 주로 소설에게 "그녀"를 멋스럽게 이르는 말."이라고 나온다. 그렇구나. 그러나 그 말이 내겐 너무나 생경스러워, 글 읽는 내내 입에 붙지 않는 말이었다.  글은, 그녀의 결혼 이야기로부터 시작한다. 나는 그 결혼을 "잘못된 만남"이라고 이름 붙였다. 그녀와 김성립의 결혼은 그야말로 "결혼은 미친 짓이다."라고 할 만한, 미친 짓이었고, 잘못된 만남이었고, 서로에게 무덤이었다. 어쩔 수 없이 맺어진 그들의 만남이 빚어낸 풍경은 참담했다. 허초희에 대한 비호감 탓인지 김성립이란 인간이 더 안쓰러웠다. 그녀를 며느리로 맞아들여야 했던 시어미 송씨는, 오히려 대부분의 보통 사람들을 대변하는 듯해서 보고 있으면 화가 나면서도, 공감되는 곳이 있었고... 서로를 만나지 않았더라면, 서로를 이해해줄 수 있는 사람을 만났더라면, 두 사람이 빚어낸 풍경도 그리 살풍경하지 않았으리라. 책 속에 그려진, 허초희의 친정은 천국, 시댁은 지옥이었다. 천국의 사람들은 천국에서, 지옥의 사람들은 지옥에서, 각각 섞이지 않고 살았더라면 서로 비교하며 불행할 일은 없지 않았을까. 

 

   "단지 그미가 남편과 더불어 나누어 가질만한 화두가 있기나 했을지, 생의 근원이 무엇인지, 어디에 있는지, 생의 목표를 어디에 두고 있는지 말과 말을 통하거나 시를 읊으며 소통이 가능했을지 그 답답했을 삶이 슬프다.한편으로, 늘 그런 생각으로 머리속이 와글거리는 자신도 답답하기는 매한가지다."(p267)

 

   그녀에 관한 소설 두 편을 읽었다. 그러나 두 편에서 그려낸 그녀의 모습은 사실 많이 달랐다. 이 책은, 좀더 처연한 난설헌의 모습을 그려냈다. 그러나 그 처연함이 안쓰러움이 아니라 내겐 청승과 거리감으로 느껴졌던... 시대를 잘못 만난 한 여인과 그녀가 그려낸 모진 삶의 풍경에 가슴이 먹먹했던 이야기 [난설헌].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본 서평은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