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만든 사람들 - 나라를 위한 선비들의 맞대결
이성무 지음 / 청아출판사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라를 위한 선비들의 맞대결.

 

   어느 나라, 어느 시대인들 정치적인 대립이 없겠는가. 조선의 소위 붕당정치시기에는 옷차림새만으로도 그 당색을 구분할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하니, 그들 사이의 대립은 무척이나 날카로웠을테다.  정치에는 문외한이지만, 이런 내가 보기에도 요즘 우리 사회 역시 대립의 각에 날이 선 듯 하다.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강력하게 주장하는 이들을 볼 때면 나 또한 양자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것 같은, 이도저도 아닌 내가 회색분자인 것 같은 생각마저 들게 한다. 나의 그런 성향은 역사를 보는 관점에도 반영이 되는지, 역사상의 대립에 대해서도 어느 쪽이 잘 했고, 어느 쪽이 잘못했다고 명확히 선을 긋기보다는 양시론, 혹은 양비론으로 결론나고 만다.

 

  이 책 [조선을 만든 사람들]은 조선역사상에서 무척이나 첨예한 대립의 각을 세웠던 7개의 논쟁과 관련한 14명의 인물들의 사상과 생에 대한, 그리고 그들의 대립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책이다. 글쓴이는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한 "이성무". 부제는 "나라를 위한 선비들의 맞대결"이다.

 

  같은 시대를 살았지만 정치적인 견해가 달랐던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라, 인물 개개인에 대한 이야기 뿐만 아니라 조선 전반의 역사에 대한 흐름을 이해하기에도 괜찮은 책이었다. 7개의 장 중에서 가장 관심이 갔던 부분은 여섯번째 장 "조선 역사상 최대의 사상 논쟁 ; 송시열 VS 윤휴"편이었다. 사실, 학교 역사수업이 어떠했는지 지금은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데, 조선의 역사를 배우면서 송시열이란 인물을 부정적으로 머리 속에 새겨두진 않았던 것 같다. 하지만 조선의 역사와 관련된 책을 자주 접할수록 송시열이란 인물을 당대의 사람들이 과연 "송자"라고 추켜세울만큼 인격적으로나 학문적으로 훌륭했던 인물인가 하는 의구심이 생긴다. 내가 읽어온 역사책을 바탕으로 그려본 송시열이란 인물의 모습은 아집과 독선으로 가득찬 인물인 것 같다. 감히 유학에 대해 그 당시의 학문에 대해 아는 바가 없지만, "주자가 살아 온다면 저의 학설을 인정하지 않을지 모르겠습니다만, 공자가 살아온다면 제 학설이 승리할 것입니다."(p190)라는 윤휴의 말은 너무나 당연하게 느껴진다. 오히려 자신을 주자와 동일시하며 주자만을 절대선이라 주장하는 송시열의 그릇이 작아보일 뿐. 조선 사회 중후반기를 장악한 이들이 그런 송시열을 추앙하는 서인이었다는 점은 대단히 아쉽다. 상대를 포용할 줄 모르는 닫힌 사고들의 소유자들이 정권을 장악하고 사회를 이끌어 나갔다는 생각이 들기에...

 

   네번째 장 "십만양병설, 그 진정한 의미는? 율곡 이이 VS 서애 유성룡"편은 두 인물이 극단적인 대립의 축이 아니었다는 점, 그리고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이가 실제로 십만양병설을 주장한 적이 없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7장 "진보와 보수, 시대의 리더십 : 다산 정약용 VS 심환지와 노론 벽파" 부분에서는 심환지란 인물에 대한 정보가 너무 부족하다는 점 역시 많이 아쉽게 느껴졌다.

 

   이 책에 등장한 인물들 중 "조광조 VS 남곤" 이나 "송시열 VS 윤휴" "다산 정약용 VS 심환지와 노론 벽파" 에 대해서는 다행히도(!) 확실히 편들어주고 싶은 인물들이 있었다는 측면이 내겐 하나의 소득이었다. 하지만 역사를 보는 방법, 시대를 보는 방법을 좀더 많이 배워야겠다는 결심을 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