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 매미처럼 향기로운 귤처럼 - 이덕무 선집 돌베개 우리고전 100선 9
이덕무 지음, 강국주 편역 / 돌베개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얀색 표지가 너무 깔끔하고 예쁜 책이다. 얼마전에 돌베개에서 펴낸 <우리고전 100선>의 정약용 시 선집을 읽는 것으로 이 시리즈를 알게 되었다. 지난번 정약용 시선집을 손에 쥐었을 땐, 시도 잘 모르지만, "고전"이란 단어에 기가 죽어 과연 내가 이해할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을 했었는데, 의외로 재미있고 쉽게 읽을 수 있었다. 그래서 이번엔 큰 부담없이 펴들었다. 이번엔 이덕무의 선집. 하얀색 예쁜 표지에 혹 손때라도 묻을까 아스테이지로 포장부터 하고. 

    이덕무. 서얼이었고, 실학자였고, 책을 좋아해 "간서치"라는 별명을 가졌었다는 정도만 알고 있었다. 나 역시 나름대론 책을 좋아한다고 자부하지만, "책벌레"라고 표현할 수 있을 정도엔 미치지 못한다. 그저 면무식이나 할 요량으로 관심가는 분야의 책 몇 권을 찾아읽을 뿐. 그런데 자타가 공인하는 "책벌레"의 면모는 어떤 것일까 궁금했다. 

    이덕무의 詩와 文을 쉬운 한글로 번역하여 수록한 책.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이덕무의 삶에 대해 감히 몇 글자로 요약해보자면 "가난과 병과 자연과 독서"가 아닐까...? 

    가난했다. 하지만 가난에 얽매여서 한탄하고, 괴로워하진 않았던 것 같다. "가장 뛰어난 사람은 가난을 편안히 여긴다. 그 다음 사람은 가난을 잊어버린다. 가장 못난 사람은 가난을 부끄러워해 감추기도 하고, 남들에게 자신의 가난을 호소하기도 하고, 그 가난에 그대로 짓눌리기도 한다. 그러다 결국 가난에 부림을 당하고 만다. 이보다도 못한 사람이 있으니, 바로 가난을 원수처럼 여기다가 그 가난 속에서 죽어가는 사람이다. "(p169) 나는 어떤 사람일까..? 이덕무가 요즘 우리들의 모습을 본다면 어떨까? 아마도 가장 못한 사람 "가난을 원수처럼 여기다가 그 가난 속에서 죽어가는 사람"이 대부분이 아닐까? 그가 살던 시대보다 물질적으론 훨씬 풍요로워졌지만, 우린 가난하다. 그와 비교한다면 너무나 많은 걸 가졌기 때문에 오히려 우린 가난한 건지도 모른다. 책 몇권, 마음맞는 벗 몇 명만을 가진 그는 가난 때문에 비루해보이지 않았다. 그의 글 곳곳에 가난이 배어나지만 말이다. 

   병을 달고 산 것 같다. 그가 스스로도 말하고 있듯이 그의 병은 가난이 큰 원인이었던 듯 하다. "병이 든 게 가난 때문인 듯하니 / 내 한 몸 돌보는 일 어찌 그리 소홀했나.  - 여름날 병중에 - 중에서.. (p26) 그 가난의 원인을 좀 더 거슬러 올라가보면 그가 "서얼"이었기 때문이다. 품은 뜻과 기개는 높지만 서얼이었기에 그 뜻을 맘껏 펼칠 수 없었고, 그래서 가난했고, 그래서 병을 달고 살았던 그의 모습이 안타깝다. 이런 사람들에게 기회를 주어야 하는 건데 말이다. 그는 서얼이었기 때문에 그 능력을 맘껏 발휘할 수 없었다.  그가 지금 우리 사회를 본다면 뭐라 말할까?  세상이 많이 변해 지금은 신분에 의한 제약은 거의 사라진 듯 하지만, 최근 정치판 돌아가는 사정을 보면 좋은 말을 해 줄 것 같진 않다. 돈이라는 새로운 권력과 제약이 신분을 결정하고 있는 사회. 이덕무처럼 맑고 고고한 정신을 가진 사람이 뜻을 펼 기회는 앞으로도 없는 것일까...

     책을 좋아했다. 아니. 좋아한 정도가 아니라 책 때문에 살 수 있었던 사람인 것 같다. 여종이 양식이 없다고 불평을 해도(p32의 <가난과 독서>), "약은 벗들에게 구걸을 하고"(p26) 아내가 끓여주는 죽을 먹으면서도 책을 좋아하는 습관은 버릴 수가 없다고 말하는 사람. 그 모습이 한편으론 대책없다 싶고, 한편으론  그의 초연한 모습이 너무 보기 좋다.  책과 친구와 자연을 좋아했던 사람 이덕무. 가난하지만 마음은 넉넉했던, 맑은 사람의 글을 접하고 보니 내 마음까지 넉넉하고 푸근해지는 듯하다.

    돌베개의 우리고전100선 시리즈. 두 권밖에 읽어보진 못했지만, 내겐 어렵게 느껴지던 "고전"이란 낱말에 대한 두려움을 깨트려 준 책들이라 고맙다. 이 시리즈의 다른 책들도 읽어봐야겠다는 다짐을 하며, 소중한 책 잠시 덮어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