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희망의 끈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22년 11월
평점 :
오랫만에 소설을 한 권 읽었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희망의 끈]. 예전에 나는 그의 열렬한 팬은 아니다고 말해왔는데, 기회가 되면 그의 작품들을 읽고 있는 이젠, 그의 팬이 아니라고 하기엔 뭣하다. 나는 그의 팬인가 보다. 이젠 히가시노 게이고의 책이 새로 나왔다고 하면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의 작품들을 많이 읽어온 것은 아니지만, 그의 이야기는 "재미"라는 부분이 무조건 보장되니깐, 읽는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이 든 적은 없었으니까 말이다.
프롤로그 부분에서 시오미 유키노부와 레이코 부부, 그들의 자녀인 나오토와 에마 가족의 이야기가 나온다. 그러고보니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을 몇 번 읽었지만 "지진"을 소재로 했던 작품을(그렇다고 해서 이 소설 전체가 "지진"이라는 재해를 주요 소재로 삼고 있는 것은 아니다.), 나는 읽은 적이 없다. 그런데 이 소설의 프롤로그 부분에서는 나오토와 에마가 방학을 맞아 외가를 찾았다가 지진이 발생해 건물이 붕괴되었고, 아이들이 사망하는 사건을 속도감 있게 전개하고 있다. 지진이라는 자연재해로 인해 한 가족의 행복이 흔들리고 가정을 유지하기조차 힘들어지는 상황을 보며 마음이 아팠다.
어? 그런데 프롤로그 부분 이후에 시오미 유키노부와 레이코의 이름은 한동안 등장하지 않는다. 찻집을 운영하던 야요이라는 여인이 살해당하는 사건을 해결하는 마쓰미야라는 경찰의 이야기가 전개된다. 마쓰미야가 야요이의 죽음과 관련하여 야요이의 전남편인 와타누키 데쓰히코와 현재 그와 사실혼 관계에 있는 다유코의 관계. 마쓰미야와 고급 료칸을 운영하는 아야코라는 여자의 아버지 이야기까지 한꺼번에 진행되면서. 이 이야기들이 어떻게 연결되는 건지 그림이 쉽게 그려지지 않아서 흥미로우면서도 연결고리를 찾고 싶은 욕심에 책장을 계속 넘겨갔다. 히가시노 게이고 이야기의 매력은 이런 게 아닐까 싶다. 결국은 하나로 맞닿게 되는 이야기일텐데 독자로 하여금 끊임없이 "이렇게 된 걸까? 저렇게 된 걸까?"를 추리하며 읽게 하는 힘.
그리고 끝부분에서는 이 이야기를 이렇게 풀어낸 것이구나! 하고 고개를 주억거리게 되는... 그의 작품을 몇몇 권 읽으면서 영화로 만들어도 흥행할 것 같다는 생각을 자주 했는데 이 책 역시도 마찬가지다. 일본인이 쓴 작품이기에 일본인들의 "결혼관"과 사회 모습을 짐작케 하는 것은 이 책을 읽으면서 얻는 부가적인 재미.
프롤로그 부분의 이야기로 다시 돌아가서. 만약에 유키노부와 레이코 부부가 지진으로 두 아이를 잃고 다시 삶에 대한 "희망의 끈"을 놓지 않기 위해 임신을 했는데, 그 임신이 자신들이 기대 혹은 예상했던 것과 다른 방향이라면. 나는 어떻게 했을까...를 생각해본다. 그들 부부와 같은 선택이었을까. 야요이와 와타누키 부부는 모나의 존재를 알게 되었을 때 또 어떤 선택을 하게 되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