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고 둥근 달
정찬 지음 / 현대문학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나는 소설가 정찬의 소설을 좋아한다 

내가 정찬 소설에서 좋아하는 지점은 이런 것 들이다 

더이상 진실, 영원 등 피상적인 근원에 대해 집요하게 파고들려 하지 않은 때 

정찬은 집요하게 파고들고 있다  

그러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하고 있다 

 그래서 정찬의 소설을 보면 나는 소설 앞에서 내 자신이 한없이 작아지고 부끄러워짐을 느낀다 

나는 그것을 향해 파고들기는커녕 보려고도 하지 않았으니까 말이다 

  

정찬의 '희고 둥근 달'에서도 역시 파상적 근원에 대한 작가의 집요한, 경건한 

마치, 어떤 종교의식을 보는 것과 같은 자세가 느껴졌다 

무조건적인 추종이 아닌, 온몸으로 끊임없이 그것에 다가가려는 몸부림이 느껴졌다 

 

나는 글을 잘 못 쓴다 

그래서 이럴 땐 내가 느낀 것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막막하기도 하다 

그래서 그냥, 소설의 한 대목을 인용하고 말련다 

 

'진실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끊임없이 움직인다. 그러므로 진실을 보려면 끊임없이 움직여야 한다. 진실을 잃어버리는 까닭은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다. 세계는 인간을 고정시킨다. 역할에 고정시키고, 영역에 고정시키고, 계급에 고정시키고, 집단에 고정시키고, 이데올로기에 고정시킨다. 인간의 꿈조차도 고정의 대상이다. 고정된 인간은 고정된 얼굴을 갖는다. 세계는 고정된 인간의 얼굴을 끊임없이 찍어낸다. 고정된 얼굴은 생명의 얼굴이 아니다. 죽음의 얼굴이다. 세계가 거대한 묘지로 느껴지는 데에는 까닭이 있다. 이 묘지 사이를 바람처럼 질주하는 이들이 있다. 유랑자들이다. 그들의 존재성은 끊임없는 변신에 있다. 그들은 고정된 얼굴을 거부한다. 고정된 얼굴을 거부함으로써 세계를 근원적으로 비판한다. 세계가 그들을 두려워하고 적대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유랑극단'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