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금술사
파울로 코엘료 지음, 최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01년 12월
평점 :
신부의 길을 걷고자 신학교를 다니던 산티아고는 자아의 존재의미를 찾고자 양치기가 된다.
산티아고는 양털을 팔러 어느 마을에 가던 중 낡은 교회에서 피라미드의 숨겨진 보물에 관한 꿈을 연달아 꾸게 되고 집시노파와 살렘의 왕의 얘기를 듣고 결국 그 꿈을 좇아 여행을 떠나게 된다.
모든 양을 팔아 여비를 마련한 산티아고는 첫 여행지인 바다건너 아프리카 마을에서 사기꾼을 만나 가진돈을 모두 잃어버리게 되고 크리스털 가게에서 일을 하며 많은 돈을 벌게 된다. 크리스털 가게 주인에게도 꿈은 있었다. 바로 모든 이슬람 신도들이 일생에 적어도 한번 해야하는 순례여행인 것이다. 그러나 가게 주인은 꿈을 실현한 후의 커다란 절망감이 두려워 꿈을 꿈 자체로 간직하고자 현실에 만족하며 살아가고자 한다. 산티아고는 현실과 꿈 사이에서 고민하다 왕이 준 두개의 보석(우림과 툼밈)을 표지삼아 다시 피라미드로 향하게 된다.
연금술사를 찾고자 하는 영국인과 함께 사막행상 대열에 합류한 산티아고는 얼마 후 오아시스에 도착하게 되고 이상형의 여인을 만나게 되어 사랑에 빠진다. 자아를 찾아가며 만물의 정기를 읽을 수 있게 된 산티아고는 매의 행동으로 전쟁의 중립지대로 일컬어지는 오아시스에 곧 전쟁이 일어날 것을 알게 되고 족장들에게 전쟁준비를 얘기한다.
매를 보낸 연금술사는 산티아고에게 꿈을 좇을 것을 제안하지만 산티아고는 사랑하는 여인과의 사이에서 갈등하게 된다. 그러나 여인은 자신이 산티아고의 일부이고 자아의 일부이기 때문에 그가 여행을 계속하기를 바란다며 그에 대한 믿음을 상기시킨다.
연금술사와 함께 이집트의 피라미드로 향한 산티아고는 사막을 건너며 전쟁중인 병사와 수차례 만나게 되고 진정한 연금술사는 마음을 다스리는 자가 진정한 연금술사이며 연금술사는 자연과 인간 및 모든 사물은 하나의 언어로 대화한다는 것을 느낀다.
파울로 코엘료는 책에서 두가지 단어로 집약시킨다.
하나는 표지이며 또 다른 하나는 마크툽이다.
표지란 신이 우리 인간들 각자가 따라가야 하는 길을 알려준다는 의미이다. 산티아고에게는 신학교를 포기하고 양을 기르게 된게 하나의 표지이며 양의 털을 팔러 가다가 꿈을 꾼것 또한 표지이며, 왕을 만난 것, 돈을 잃어버려 크리스탈 가게에서 일을 하게 된 것, 사막의 오아시스를 가서 연금술사를 만난것 또한 표지이다.
표지는 마크툽이다. 마크툽은 아랍어로 '그건 내가 하는 말이 아니라 이미 씌여 있는 말이다'인데..결국 그럴수 밖에 없는 상황을 얘기한다. 즉, 자아를 찾는 과정에서 주변 상황은 필연이며 그걸 인식하는 것이 표지라는 것이다.
표지는 어떤 상황에 대하여 결정하게 될때 주변은 나로 하여금 결정하도록 신이 도와준다고 해석할수 있다. 신은 우리 삶에 결정적인 순간에 이미 관여하고 있으며 안전하게 인도해준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인간은 꿈을 좇아 나아가면 되는 것이다.
또한 책에서는 고통 그 자체보다 고통에 대한 두려움이 더 나쁜것이라 얘기 한다. 즉,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는 말이다. 마음과 대화할 수 있어야 만이 자연과 대화할 수 있고 내 자아와 대화할 수 있으며 신과 대화할 수 있다고 얘기 한다.
그래서 진정한 연금술사는 납을 금으로 만드는 것이 아닌 이 세상을 하나의 언어로 대화하는 것이며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야 말로 진정한 연금술사라 얘기한다.
내 주변은 신이 지켜주시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