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국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1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에게 있어 문학은 일종의 ‘이유 있는 외도’이다. 내가 속한 비좁은 세상의 단조로운 경험을 풍부하게 확장시켜주고, 의미 있는 외도 - 내실을 더하는 기쁨 - 를 통해 나는 내 것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길을 발견하게 된다. 그래서 문학은 즐겁다.  

근래 일본문학에 호기심이 생긴 나는 노벨문학 수상자이자 일본문학의 대부라 할 수 있는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이즈의 무희>에 이어 <설국>을 읽게 되었다. 조용한 카페에 앉아 단숨에 읽어 버릴 수 있는 양의 글 속에서 그 누구의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설경 같은 문체를 발견하게 된다.  

대개 문학 속의 묘사가 상황설명을 위한 도구, ‘스토리’라는 하나의 거대한 목적아래 수동적으로 수집돼 구성되는 희생을 감수해야 했던 것에 비해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글 속의 문장들은 하나하나가 고유한 생명력을 갖고, 호흡하는 듯 한 인상을 주었다. 그의 문장의 숨결은 섬세하고, 서정적이며, 아련하기까지 하다. 세상을 바라보는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예민한 감수성이 나와 너무 닮아있었기에 허무의 시선에도 무척 공감할 수 있었다.   

또한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작품 속에서 여행은 중요한 창작의 모티브가 된다. 그는 실제로 작품의 배경이 되는 장소에 머물며 글을 완성해 갔다고 한다. ‘여행’이란 것이 도대체 무엇이기에 수많은 사람들의 창작의 모티브가 되는 것일까?, ...나의 관심은 자꾸 자꾸 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