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신불 - 김동리 단편선 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전집 13
김동리 지음, 이동하 책임 편집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운명이란 것을 믿지 않는다. 운명이라는 것은 마치 나의 의지를 나약하게 만드는 것 같기 때문이다. 미래는 누가 주는 것이 아니라 각자가 만들어 가는 것이라고 믿는다. 등신불을 읽었다. 김동리의 소설을 많이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그의 소설을 보면 토속적이고 민속적인 면이 저변에 흐르는 듯하여 반갑고도 편안하다. 다만 그의 소설을 읽을 때면 허무주의가 더 맞겠다.

그런 느낌이 들어 가슴 아픔과 저림을 함께 느끼곤 한다. 등신불은 부처가 된 아니 부처라고 사람들에게 불리게 된 이의 이야기다. 들기름을 몸에 부어 절여서 점점 화석이 되게끔 만든 후 나중에 몸을 불살라 몸을 부처님께 공양한 것이다. 그렇게 하여 타고 남은 그 몸에 금박을 붙여 금불상을 만들어 후세에 부처라 불리게 되었다 한다. 그게 바로 등신불. 문제는 그렇게 자신의 몸을 불살라 공양하게 된 계기가 바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인간적인 운명 때문이었는데 그리하여 그 불상은 부처의 여유로움과 너그러움과는 거리가 먼 묘한 표정을 짓게 된다.

인간의 허무와 한계라는 것은 과연 어디까지일까? 비록 우주선을 쏘아 올리고 인공위성을 날리는 시대를 산다 하여도 인간의 사고에서 오는 운명에서 오는 그 한계는 과연 시대가 흐른다 하여도 풀리게 되는 것인지 의문이 온다. 벗어나고자 하나 벗어날 수 없는 한계에서 우리는 간혹 풀썩 주저앉기도 하고 때론 마음속이 오기와 독기로 가득 차기도 한다. 때로는 풍자나 해탈로 모든 것을 극복하려는 또는 회피하려는 태도를 취하기도 한다.

허나 풍자와 해탈로 독기와 허무로 삶을 설명하고 또 전부가 될 수는 없을 듯 싶다. 김동리의 소설 등신불에서 나타낸 인간의 운명에 대한 한계성에 대한 허무주의는 그래서 아쉽기만 하다. 비록 그 소설이 어떤 문학사적 가치를 지녔고 또한 아름답고 잘 지어진 소설이라 할지라도 말이다.

지금 내가 하는 이야기는 어쩌면 지나친 낙관주의로 비춰질지도 모르지만 적어도 그 낙관주의가 허무주의를 극복하는 한 방편이 될 수도 있다는 것만은 사실이다. 곳곳에 자신의 의지가 꺾여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눈에 자주 띈다. 그 사람들 중에 내가 있기도 하고 내 주변에 그 사람들이 있기도 하지만 하늘이 높고 구름이 아름답다. 이제 한번 하늘을 바라보고 어깨를 필 필요성을 느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