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머러티 - 데이터로 세상을 지배하는 사람들
스티븐 베이커 지음, 이창희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1.뉴머러티의 정의

뉴머러티란 우리의 삶을 이루는 모든 것들을 0과 1로 바꾸어서 인간 의사소통의 열쇠를 기호언어의 마에스트로에게 넘겨서 우리의 삶을 이루는 정보를 지배하는 수학자들과 컴퓨터 과학자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2.뉴머러티의 역할

뉴머러티는 데이터 하나하나가 한 가지 사실 또는 한 가지 확률에 상응하는 방대한 데이터,사람들로부터 나온 데이터 파편을 결합하여 예측 가능한 모델 즉 근로자,환자,군인,연인,쇼핑객,유권자로서의 모델을 만들어내어 행동까지도 바꾸려고 한다.

3.뉴머러티의 유형

근로자 모델을 만드는 뉴머러티 시리아 출신의 수학자 사메르 타크리티.
그는 IBM에서 추계분석 총책임자로 근무한다.IBM이 전 직원을 역량 포트폴리오에 일관성있게 배정하여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게 해서 인력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의 일이다.그리고 IBM회사 자체를 최적화하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그의 최종 작업 목표이다.IBM직원의 특이한 버릇,출퇴근 패턴,동지,적을 포함하는 완결된 모델을 만든다.

쇼핑객 모델을 만드는 뉴머러티 라이드 가니
그와 공동작업을 하는 식료품 체인이 보유한 2년 치의 상세한 고객 정보를 통해서 라이드 가니는 생활 수준,관심사,브랜드 충성도를 계산하여 쇼핑객의 유형을 만들고 마케터들은 쇼핑객 모델의 맞춤형 광고를 내어 쇼핑객들이 쇼핑하도록 유도한다.

유권자 모델을 만드는 뉴머러티 조슈아 갓봄
정치자문업체인 스포트라이트 어낼리시스를 설립한 조슈아 갓봄의 견해에 따르면 데이터의 힘을 활용하는 방법을 터득하고 뉴머러티의 머리를 이용할 줄 아는 정당이 여론 조사에서 성공할 것이다.뉴머러티가 부동층에 대해 훨씬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여 부등층을 더 세분화된 집단으로 분류하면 정치인들은 각각의 집단에 대해 맞춤형 공약을 제시할 수 있다.

블로거 모델을 만드는 뉴머러티 하워드 코산스키
하워드 코산스키가 창립한 움브리아 회사는 매 시간 블로그로 흘러드는 수백만 단어를 대상으로 데이터 마이닝을 한다. 그 목적은 여러분과 나를 비롯한 세상의 소비자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특히 우리가 갈망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알아내고 마케터들은 소비자의 갈망을 읽어서 광고를 한다.

테러리스트 모델을 만드는 뉴머러티 제임스 샤츠,조나스
제임스 샤츠는 NSA의 수석 수학 연구원이고 NSA의 원래 과제는 구 소련군의 교신을 해독하는 것이었으나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이유 군벌,테러리스트,국제 손세탁 범죄자 같은 미군의 적을 찾아낸다.

조나스는 IBM의 수석 연구원이다.그는 예전에 '요주의 인물들'을 식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노라라고 명명된 이 소프트웨어는 인적 사항 파일로부터 대출 신청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공통요소를 찾아내도록 특화된 프로그램이다.노라가 가장 필요한 사람들은 테러리스트의 신원과 이들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사람들이다.

환자 모델을 만드는 뉴머러티 에릭 디시몬
인류학자인 그는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센서들이 인간 행동의 거의 모든 측면을 기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계적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으리라고 본다.스페어미더디테일즈닷컴이라는 가상의 회사는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평생에 걸친 처방,식단,운동의 종목과 강도까지 지정해 줄 것이다.

연인 모델을 만드는 뉴머러티 피셔
인류학자인 그가 고안한 케미스트리닷컴의 소개팅 시스템을 고안한 분석가들은 사람들의 마우스 클릭을 하나하나 추적해서 회원들이 어떤 타입의 이성을 가장 흥미롭게 생각하는 가를 측정하고 집단별로 분석한 회원들을 상대로 맞춤형 마케팅을 수행한다.

4.결론

뉴머러티의 대상은 바로 인간이다.
뉴머러티,숫자 엘리트들의 등장으로 인해 모든 사업의 지평이 바뀌고 많은 사람들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정체성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할 것으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