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기 쉬운 철도과학 ㅣ 포스트 사이언스 (POST SCIENCE) 17
가와베 켄이치 지음, 공영태 외 옮김 / 북스힐 / 2022년 3월
평점 :
목차의 『철도의 레일에 ‘철’을 사용하는 이유』를 보고 궁금해져서 읽어봤다. 이유는 간단하다. 돌은 길게 가공하기 어려워 이음새가 많아지고, 결과적으론 승차감에 나쁜 영향을 준다. 나무는 충격에 약하고 쉽게 부러져서 철도 레일에 적절하지 못하다. 그래서 단단하고, 길게 가공할 수 있는 철을 사용한다! 너무 간단한 결론이라 충격이다! 무슨 장황한 이유가 있는 줄 알았건만! 그래도 주철보다 탄소 함량이 낮아 충격에 강한 강철을 쓴다는 학교에서 배운 내용도 나와서 반가웠다. 제일 궁금했던 ‘철’을 사용하는 이유를 확인하고 다시 처음부터 읽어나갔다.
철도의 전반적인 이해에서 철도가 항공기, 배, 자동차와는 다르게 방향 조종 장치가 없다는 부분에 깜짝 놀랐다. 철도는 레일 위로만 달린다는 것에 미루어보면 당연한 말이지만 항공기, 배, 자동차와 비교해 본다면 꾀나 독특한 특징이다. 그 때문에 무인운전 도입이 다른 운송기에 비해 쉽다. 몇 년 전에 일본에 방문했을 때 이상한 형태로 구분된 좌석이 있었는데, 그것이 무인운전 열차의 모습이라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오래전의 궁금증을 풀게 되어 기뻤다. 일본 철도는 회사 여러 곳에서 운행하기에 그 모습도 제각각이라 타면서 궁금했던 부분이 많았는데, 궁금증을 해소하고 더 깊이 알아볼 수 있었다.
한 페이지에 설명하고 그 옆 페이지에는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이 있는 형식으로, 어려운 원리보다는 일본의 철도에 대한 큼직한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방식이나 형태 종류를 나열하고 일본의 철도에는 어떤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지 장점과 함께 설명해 준다. 일본의 철도를 애용하는 사람이라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지 않을까. 많은 철도를 이용해 보지 못한 것이 아쉬워졌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