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 메이트북스 클래식 23
존 스튜어트 밀 지음, 정영훈 엮음, 최기원 옮김 / 메이트북스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존스튜어트밀의자유론 #메이트북스 #존스튜어트밀 #추천도서 #베스트셀러 #고전




입헌 국가에서 정부가 개인의 의견 표현을 억압하려 드는 일은, 책임의 경중과 무관하게 이제는 좀처럼 보기 어려워졌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정부가 앞장서서 침묵을 강요하지 않더라도, 대중의 불관용이 들끓는 순간이 왔을 때 그들의 분노를 대표하는 수단으로 정부가 동원될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47 p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







저는 베스트셀러를 찾아 읽는 편이 아니라, 시간이 오랫동안 흘렀어도 여전히 가치가 있는 '고전'을 즐겨 읽는 편입니다. 고전 리스트는 주로 서울대, 연세대, 하버드대 등 명문 대학의 '추천 도서 목록'에서 확인하고 있는데요. 그 추천 도서 목록에 있는 책들 중 하나가 바로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입니다. 저는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했고, 어느 정도 어려운 책들도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는 하지만, 사실 <자유론>을 읽어본 적은 없습니다. 한 권의 명저를 읽기 위해서는 단순히 읽는 것으로 그치는 게 아니라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학문의 길을 선택한 게 아니어서 하루 중 절반을 직장에서 보내다보니 사실 이렇게 독해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고전을 읽는 게 부담스러운 편입니다. 고전을 좋아했어도 저의 현 상황이 이렇다보니 자연스레 멀어질 수밖에 없더라구요. 그런데 최근, 저처럼 고전을 다시 읽고 싶지만 부담이 되었던 사람들에게 무척 좋은 시리즈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바로 메이트 북스 클래식 시리즈입니다.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은 메이트북스 클래식 시리즈의 23번째 책인데, '현대 감성으로 번역'한 책이어서 '번역서' 느낌이 들지 않습니다. 그리고 전공자가 아니면 잘 이해되지 않을 법한 난해한 제목들을 좀 더 직관적으로 번역해서 이해하기가 수월했습니다. 이렇게 훌륭한 번역서라면 얼마든지 어려운 고전들도 부담없이 읽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유'는 인간이 가진 당연한 권리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과연 우리는 진짜 자유로운 삶을 살고 있는 것일까요? 자유로운 삶을 산다고 생각하지만 혹시 보이지 않는 권력(가령 사회)에 종속되어 살아가는 것은 아닐까요?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은 바로 인간의 근원적인 욕망인 '자유'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왜 우리는 자유를 논해야 하는지, 틀린 의견이라도 왜 여전히 필요한 것인지, 인간의 개성이야말로 왜 자유의 본질이 되는지에 대해서 치밀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현대 사회는 개인의 자유를 존중한다고 하지만, 과연 우리는 개별적인 고유한 가치를 인정받고 살아가는 것인지 의문이 들 때가 많습니다. 사실 획일화된 삶을 살아가면서, 개성 없는 인간으로 살아가는 것은 아닐까요. 이 책은 이러한 의문들에 대해서 답변을 해줍니다. 그런데 이 책이 특히 좋았던 것은 '철학적 요점 정리'와 '사회적 적용 및 현실 연결'이 매 장의 첫 번째 페이지에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사실 이 난해한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을 이해하려면 논문을 읽어가면서 독서를 해야 할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이렇게 '내가 읽고 있는 장이 나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앞서 설명해주고 있기 때문에 독서에 도움이 됩니다.




이 책은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잘 번역함과 동시에, <자유론>을 '읽었다'가 아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훌륭한 책입니다. 교양을 쌓고 싶은 일반인, 대입을 준비하는 고등학생들이 읽어도 부담이 없을 정도로 해석, 해설이 모두 깔끔합니다. '자유'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고, 철학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만든 이 책에 고마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곁에 두고 오랫동안 보고 싶은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