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커플은 어떻게 싸우는가 - 세계적인 심리학자 존&줄리 가트맨 박사의 관계 심리학
존 가트맨.줄리 슈워츠 가트맨 지음, 정미나 옮김, 최성애 감수 / 해냄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쓴 주관적인 후기입니다.

#행복한커플은어떻게싸우는가 #심리학 #관계심리학 #해냄 #추천도서


건강한 파트너 관계 사이에 있을 법한 '갈등 스타일'에는 회피형, 수긍형, 발끈형이 있습니다. 세 유형 모두 절대적인 것이라기보다 스펙트럼상의 한 지점과 같습니다. 우리는 이 세 유형 중 하나에 100퍼센트 전적으로 속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사이 어디쯤에 있으면서 이쪽저쪽으로 쏠립니다.


-70 p / 행복한 커플은 어떻게 싸우는가 / 해냄




싸우지 않고 지내는 커플이 세상에 존재할 수 있을까요? 사람은 저마다의 개성이 있고, 자신과 꼭 닮은 사람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싸움이나 갈등이 없는 관계가 과연 가능할까라는 의문이 듭니다. 하지만 싸움이나 갈등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채 관계를 지속해 나간다면, 그것만큼 불안한 일도 없을 것입니다. 인간관계 자체도 어려운데, 인간관계에서도 최상으로 꼽히는 '연인관계'는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계속 발전시킬 수 있을까요? 해냄에서 출판한 신간 도서 <행복한 커플은 어떻게 싸우는가>에 해답이 나와 있습니다.




<행복한 커플은 어떻게 싸우는가>는 제목부터 솔직하고 강렬합니다. 행복한 커플은 절대 싸우지 않을 것 같지만, 사실 그건 건강한 관계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상대에게 관심이 많고, 사랑하는 마음이 있다면 원하는 게 생길 것입니다. 그러다보면 갈등은 피할 수 없는 게 되겠지요. 그래서 커플은 싸웁니다. 싸움은 갈등을 더 심화시키고 연인 사이를 이전보다 벌어지게 해서는 안 됩니다. 다행히도 이 책에서는 커플이 '잘' 싸우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이 책을 쓴 존 가트맨 작가님과 줄리 슈워츠 가트맨 작가님은 세계적인 심리학자입니다. 먼저 존 가트맨 작가님은 위스콘신대학에서 임상심리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는 워싱턴대학 심리학과 명예교수로 있습니다. 줄리 슈워츠 가트맨 작가님은 가트맨 연구소의 소장으로 일하며 부부 심리치료를 전문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실무에서 일한 경험이 풍부하기 때문에 이 책에는 실제 사례들이 많이 들어 있어서 읽는 내내 흥미로웠습니다.




이 책에서는 갈등이란 곧 '연결'이라고 합니다. 갈등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 배우자의 정체성 등을 알 수 있고 서로의 비슷한 점과 연결의 지점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작가님의 설명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사이가 좋아보이고 싸움 한 번 한 적 없는 '갈등 없는 커플'이 더 위험하다고 합니다. 부부는 싸울 수 밖에 없으니 오히려 분노와 갈등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갈등을 회피하지 말고 정면돌파하여 더욱 관계가 공고하도록 만드는 계기가 되어야 할텐데, 그러한 방법을 심리학을 배우지 않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잘 모르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관계의 성패가 어디에 달려 있는지, 싸움은 어떤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지, 뿌리 깊은 갈등을 푸는 실마리는 무엇인지 등을 상세하게 쓰고 있기 때문에 연인, 부부 간의 갈등을 보다 객관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저도 최근 연인과 말싸움을 벌인 적이 있어서 이 책의 내용이 더 와닿았습니다. 서로의 입장만 내세우고 감정이 격해져서 예전에 서운했던 일들까지 쏟아내는 바람에 꽤 오랫동안 말을 하지 않고 지냈습니다. 만약 저희가 <행복한 커플은 어떻게 싸우는가>를 읽어보았다면, 이렇게 소모적인 싸움은 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감정만 상하는 싸움이 아니라, 전보다 더 사이가 좋아질 수 있는 싸움을 했겠지요. 이제라도 이 책을 알게 되어 다행입니다. 부부, 연인 간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과 싸움을 할때 어떻게 현명한 대처를 해야할지 궁금한 분들께 이 책을 강력 추천합니다. 건강한 싸움은 연인과의 사이도 발전시켜줄 뿐더러, 자기 자신도 이전보다 더 성숙한 사람으로 만들어줄 수 있으므로 이 책의 내용은 독자의 인생에 뼈가 되고 살이 되어줄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