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태웅의 AI 강의 2025 - 인공지능의 출현부터 일상으로의 침투까지 우리와 미래를 함께할 새로운 지능의 모든 것
박태웅 지음 / 한빛비즈 / 2024년 9월
평점 :
요즘 사람들을 만나면 꼭 이야기하는 주제 중의 하나가 바로 'AI', '인공지능'이다. AI 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이미 세계적인 추세가 되었다. AI 기술이 짧은 기간동안 이루어낸 변화도 엄청나지만, 앞으로 세상이 어떻게 변하게 될지 상상조차 되지 않는다. 비록 나는 과학, 기술 분야와 무관한 일을 하면서 살고 있지만 대세가 되어버린 AI,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한빛비즈에서 출간한 <박태웅의 AI 강의 2025>를 읽게 되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12/pimg_7719751604459531.jpg)
이 책을 쓴 박태웅 작가는 IT 분야의 전문가이다. 한빛미디어 이사회 의장을 거쳐 현재 녹서포럼 의장을 맡고 있다. 2021년에는 정보통신분야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동탑산업훈장을 수훈했다. 작가의 약력만 보아도 이 책은 믿고 구입할만한 가치가 있는 책이다.
이 책은 'AI 리터러시'를 높일 수 있는 책이다. 그래서 AI 입문서로 매우 적합하다. 이 책에는 인공지능의 다양한 측면들과 그것이 가진 함의와 품고 있는 위험들, 그리고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가가 나와 있다. 두께가 꽤 있는 책이지만, 작가가 워낙 글을 잘 썼기 때문에 글이 지루하지 않고 쉽게 읽힌다.
흔히 이런 AI 관련 책들은 어려운 말들이 많이 나오지만, 이 책은 전문적인 내용을 전혀 몰라도 읽을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수준이 낮은 책은 절대 아니다. 참고문헌을 보면 저자가 읽었던, 추천하는 논문들이 있는데 그 양이 방대하고 또 전문적이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내용은 '챗 GPT로 알아보는 인공지능의 정체', '생성형 AI의 놀라운 능력과 최근의 기술 흐름', 'AI의 확산, 그리고 필연적으로 도래할 충격들'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구축', '인공지능 발달에 대한 대응 방법' 등이다. 단 하나도 빠뜨릴 수 없는 내용이었고, 읽으면서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았다.
작가는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미디어를 우리는 어떻게 맞아야 하는가?'는 공론화를 하기에 아주 적절한 주제라고 했는데, 나도 크게 공감한다.
하지만 이렇게 거대한 질문을 던지고 섣불리 답을 내려고 하기 보다는 '우리가 맞이하고 있는 질문들은 어떤 것이 있는가?'를 사회의 모든 부문에서 끄집어내어 모아야 한다는 게 작가가 주장하는 바이다. 작가가 얼마나 인공지능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은 인공지능 발달에 대한 캐나다의 대응이다.(376 p.) 작가는 인공지능에 관한 한 캐나다는 세계적인 모범국이라고 한다. 캐나다의 사례를 연구한다면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할지 힌트는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캐나다는 2017년 세계 주요국 중 최초로 국가 AI 전략을 수립했는데, <범 캐나다 인공지능 전략>이 그것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연구 및 인재 개발, AI 클러스터 개발, 상용화 및 도입 촉진 등에 대한 내용이 있다고 한다. 나도 이 전략을 자세히 읽어보고 싶어졌다.
이미 이 책은 베스트셀러에 진입했다. 그만큼 사람들이 인공지능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나는 특정한 부류의 사람들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인공지능에 관심을 가지고 이 책으로 공부를 했으면 좋겠다.
그래서 다가오는 미래를 잘 대비하고, 더 행복하게 살아가면 좋겠다. 앞으로 인공지능이 세계를 어떻게 변화시킬지 궁금한 사람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