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행복지도 2020 - 서울대 행복연구센터의 행복 리포트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JTBC의 교양프로그램 중 차이나는 클라스가 있습니다.

가끔씩 집중해서 보게 되는 좋은 프로지요.그런데 얼마전 독일유럽센터의 원장인 김누리 교수의 수업을 흥미있게 보게 됐어요.유럽의 선진국인 독일의 특성과 우리나라와의 차이점을 얘기하는데

충격적인건 약자에 대한 태도였습니다

난민에게 문을 연 독일. 이때 세계는 메르켈 총리의 정치생명은 끝이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그녀는 당당히 재선에 성공하죠. 게다가 난민들의 수가 늘어나 임시로 학교 기숙사를 내주게 된 학생들은

화를 내기는 커녕 주거지로는 모자란 시설이라며 미안해했다는군요

여기에 대조되는건 자기 동네에는 특수학교가 들어와서는 안된다며 무릎 꿇는 학부모들을 비난하던 한국의 지역주민들이었습니다. 왜 두 나라는 이렇게 큰 차이가 나는 걸까요.

국민성? 의식? 여기에 김누리 교수는 답을 교육에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어릴때부터 경쟁에서 이기는 방법으로만 교육을 해왔다는 거죠.

내가 남보다 강해야만 살아남고 존중받을 수 있다.

그것이 곧 내가 조금이라도 불리해서는 안되고 나보다 약한 이들은 핍박받는게 당연하다라는 의식으로 확대되는 거였죠. 이 책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0을 보면서 왜 이 강의가 떠올랐을까요.

<행복을 300만건의 데이터로 찾아냈다. 서울대학교의 행복연구센터!

150만명의 365일을 기록한 인포그래픽 매거진!>

이 책의 광고문구입니다. 끌리면서도 안끌리던건

행복을 데이터로 증명할 수 있을까?라는 호기심과 의구심이 반반이었기 때문입니다.

책은 이쁩니다. 그래픽 아기자기 깔끔하게 뽑았어요.

중요한 얘기들도 나옵니다. 한때 유명했던 방글라데시나 부탄이 세계 제일의 행복지수를 가진 나라라는 건 잘못된 얘기라는것, 행복지수는 많은 수에서 객관적으로 측정되어야 한다는것,

20,30대의 여성들이 가장 불행하다는것.해외 여성들이 국내여성들보다 행복하다는 것 등이지요.

카카오와 연구소가 같이 한 이 조사에서는 행복을 수치화한 안녕지수를 사용합니다.

세종과 제주 지역의 안녕지수가 오히려 해외지역보다 높다니 이사를 가고 싶어지더라고요.

반대로 남성의 안녕지수가 가장 낮은 지역은 인천,

여성은 전북이었다는게 흥미로왔는데 이유를 깊게 분석하지 않고 지나가는 부분들이 많아 아쉬워요.

세대별 ,연령별 지역별 직업별 사건별 별별별....많이도 데이터를 뽑았는데

너무 세세해서 눈에 잘 안들어옵니다.

굵은 글씨의 목차랑 마지막 요약만 보면 책 다 본 듯.

이 엄청난 데이터 량이 얘기하는게 결국 기존의 행복을 얘기하는 책들과 큰 차이는 없네요.

행복에 대한 개념을 데이터로 증명해보고자 애를 많이 쓴 책이라는 느낌입니다.

행복이 안녕지수로 증명되어질 것이다-라는 너무도 연구소다운 .....

엄청난 데이터 지수를 보면 피곤해지는 저 같은 사람에겐

김누리 교수의 강의처럼 사회문화적인 부분이 행복의 기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원인을 짚어보는 연구가 더 와닿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