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우영 오백년 1 - 조선야사실록
고우영 지음 / 애니북스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네 권으로 묶여 출간된 책의 제목은 "오백년"이다. 표지에는 "조선야사실록"이라는 부제도 붙어 있다(사실 "야사"와 "실록"은 함께 쓰이기에는 조금 어색하다). 제목은 "오백년"이지만, 네 번째 책은 성종으로 끝맺고, 함께 출간된 "연산군"이 세 권짜리이므로, 아마도 "야사로 보는 조선왕조 오백년" 정도를 꿈꿨을 저자의 야심은 연산군의 폐위로 접어야 했던 사정이 있었던 것 같다. 만화의 출판문화가 자리잡히기 전이므로, 신문사와의 문제가 있던 게 아닐까. 아무튼 "오백년"(그리고 뒤이은 "연산군")은 제목과는 달리 조선왕조 초기 백여 년을 다루는 데에서 끝이 난다. 


이 시리즈에 대한 유일한 불만은 나머지 사백 년을 다루지 못하고 백 년에서 끝났다는 점 뿐이다. 선생의 필치는 여전히 대범하며, 골계미는 명불허전. "이긴 자"들에 대한 야유는 예술가의 특권일 것이나, 그렇다고 해서 "패배한 자"들이 이겼더라면 역사가 어찌 되었으리라는 등의 무책임한 선동도 하지 않는다. 역사에도, 심지어 야사에도 제대로 남지 못한 자들을 오히려 위로한다. 


[아래는 제1권에 대해서만] 


1권은 고려말부터 태조의 집권까지를 그리고 있다. 무학대사와 이성계의 인연에 대해서는 워낙 야사가 많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 이야기들 사이에서 모순이 있는데, 저자는 "적당히" 잘 버무려 그리고 있다. 대부분의 야사는 후대에 문서화된 각종 야담류 이야기에 바탕을 두고 있을 것인데, 그렇다고 해서 그것을 그대로 옮기지 않고 저자 자신의 말로 이야기가 되도록 그려내고 있다. 아마도 고우영 선생의 가장 큰 장점일 것인데, 원작이 있는 경우에도 때로는 과감히 삭제하고, 과감히 추가한다. 그런데 그것이 훨씬 원작보다 나은 호흡으로 읽힌다. "자기의 말"의 힘일 것이다. 


제일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는 "슈퍼 불가사리"의 끝 부분이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결말은 논공행상이다. 그런데 저자는 이를 약간 비틀었다. 그런데 그 결말이 더 일관되고 설득력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시여행자를 위한 파리x역사
주경철 지음 / 휴머니스트 / 201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선생은 자신의 전공관련 최고 수준 학술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한편, 정확한 지식을 쉽게 전달하는 ˝한국어로 된 읽을 만한 산문˝을 제공하는, 우리나라의 귀중한 자산이다. 머리가 둔하여 브로델의 번역서나 문명교류사에 대한 학술서는 제때 따라잡지 못하고, 이번에도 당의정에 행복해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지 오웰
피에르 크리스탱 지음, 세바스티앵 베르디에 그림, 최정수 옮김 / 마농지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보다 치열한 삶을 살았던 사람의 인생을, 오히려 담담하게 그려내어 울림이 있다. 그가 자서전을 썼다면 이런 투로 쓰지 않았을까 싶을 정도. 종교든 이데올로기든 무비판적으로 빠져버리면 정작 중요한 정신적인 자유를 잃음을 경고한, 진정한 ˝지식인˝의 삶이 주는 感動, 마음의 움직임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한지 12 - 완결, 사면초가 초한지 12
요코야마 미츠테루 글.그림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2년 10월
평점 :
품절


[2권]부터 [11권]까지에 대한 리뷰와 마찬가지로, 아래 [요코야마 미츠테루, 초한지 총평]은 초한지 [1권]에 썼던 리뷰(http://blog.aladin.co.kr/overmask/7878718)를 그대로 옮겨 왔고, 이후 [12권]에 대한 리뷰를 새로 써 붙였다.

 

[요코야마 미츠테루, 초한지 총평]

 

요코야마 미츠테루의 역사만화를 보다 보면 고우영 선생과 비교하게 된다. 고선생의 만화가 대담하면서도 골계미를 뿜고 있다면, 요코야마 씨의 만화는 담담하고 겸손하다. 어느 쪽이 더 낫다는 평은 무의미하다.

 

초한지는 중국 민족신화의 시작이라고도 볼 수 있는 한나라의 탄생을 다루고 있다(중국민족은 스스로를 "한족"이라 부른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시점을 다루고 있으나, 막상 후대에 쓰여진 [초한지]라는 소설은 다소 유치하고 말이 안 되는 부분도 많다. 역설적으로 그 때문에 초한지는 후대의 작가 또는 역자가 자유로이 개입하기도 좋고, 개작의 유혹도 있을 수 있다. 실제 이문열은 초한지를 다루다가 사실상 이 시기를 다룬 새로운 소설을 쓰기도 했다(관심 있게 본다면 이문열의 이름으로 발간된 [초한지]에서 이문열은 "역자"도 "평역자"도 아닌 "저자"임을 알 수 있다. 새로 쓴다면 이 정도는 써야 한다). 

 

요코야마는 그냥 자기 스타일대로 담담하고 겸손하게 그려 나간다. 초한지에 등장하는 에피소드를 순서대로 성실히 그려 보여주며, 조금 억지스럽거나 말이 안 되더라도 그랬다더라고 그냥 진도를 나간다. 그만의 매력이라고도 볼 수 있다.

 

[12권]

 

드디어  대단원, 사면초가의 때가 왔다.

 

유방은 한신과 영포를 확실히 단속하여 군세를 모으고, 소하가 준비해 둔 군량을 탄탄한 보급로를 통해 적진으로 나른다. 항우의 본거지에서 항우를 포위하여 산산조각낸다. 사방에서 울리는 초나라의 노랫소리, 우미인의 노래와 죽음, 충성스러운 말의 최후가 곁들어진다.

 

요코야마는 유방의 등극으로 종결하지만, 통상적인 [초한지]는 이어서 한신, 영포의 죽음과 유방의 죽음, 여씨 천하와 유씨 집안의 복권까지를 다룬다.

개인적으로는 후자의 종결방식이 옳다고 생각한다. [초한지]가 한나라, 나아가 한민족의 창조신화에 해당하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즉 [초한지]는 유씨가 소하, 여씨 등 한 동네 사람들과 더불어 모험을 거치며 동료를 얻어 강력한 적을 주살하고 마지막으로는 그 사이 강력해진 외부인들을 하나씩 쳐내는 서사시이다.

한미한 유씨 집안이 천하를 얻고 독재하는 과정이 곧 한족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고, 한족들은 자신들의 조상들에게 감정을 이입하면서 민족의식을 새겨왔을 것이다. 단순하면서 막무가내식의 구도에 전체 이야기가 어수룩하고 어색함에도 불구하고 이 이야기가 오랜 기간 인기를 얻는 이유가 여기에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한지 11 - 제왕 한신 초한지 11
요코야마 미츠테루 글.그림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2년 10월
평점 :
품절


[2권]부터 [10권]까지에 대한 리뷰와 마찬가지로, 아래 [요코야마 미츠테루, 초한지 총평]은 초한지 [1권]에 썼던 리뷰(http://blog.aladin.co.kr/overmask/7878718)를 그대로 옮겨 왔고, 이후 [11권]에 대한 리뷰를 새로 써 붙였다.

 

[요코야마 미츠테루, 초한지 총평]

 

요코야마 미츠테루의 역사만화를 보다 보면 고우영 선생과 비교하게 된다. 고선생의 만화가 대담하면서도 골계미를 뿜고 있다면, 요코야마 씨의 만화는 담담하고 겸손하다. 어느 쪽이 더 낫다는 평은 무의미하다.

 

초한지는 중국 민족신화의 시작이라고도 볼 수 있는 한나라의 탄생을 다루고 있다(중국민족은 스스로를 "한족"이라 부른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시점을 다루고 있으나, 막상 후대에 쓰여진 [초한지]라는 소설은 다소 유치하고 말이 안 되는 부분도 많다. 역설적으로 그 때문에 초한지는 후대의 작가 또는 역자가 자유로이 개입하기도 좋고, 개작의 유혹도 있을 수 있다. 실제 이문열은 초한지를 다루다가 사실상 이 시기를 다룬 새로운 소설을 쓰기도 했다(관심 있게 본다면 이문열의 이름으로 발간된 [초한지]에서 이문열은 "역자"도 "평역자"도 아닌 "저자"임을 알 수 있다. 새로 쓴다면 이 정도는 써야 한다). 

 

요코야마는 그냥 자기 스타일대로 담담하고 겸손하게 그려 나간다. 초한지에 등장하는 에피소드를 순서대로 성실히 그려 보여주며, 조금 억지스럽거나 말이 안 되더라도 그랬다더라고 그냥 진도를 나간다. 그만의 매력이라고도 볼 수 있다.

 

[11권]

 

드디어 한신은 제를 정벌한다. 그 과정에서 낭사의 계로 용저를 무찌른다. 후반부의 가장 중요한 전투로 꼽을 만하다. 이를 통해 한신은 제를 무력으로 점령하고, 유방과 한신이 항우를 포위하게 된다.

 

이후 전개되는 에피소드는 다소 어수선하다. 한신은 가왕책봉을 요청하고, 유방은 제왕으로 책봉한다. 초는 한신을 회유하나 한신은 거절하고 출전한다. 항우의 인질(유방의 부친) 살해 협박에 유방은 홍구를 경계로 화친을 청한다. 이후 유방이 파약하나 이미 한신은 영지로 돌아간 뒤였고 유방은 패퇴한다. 그리고 ([12권]에서) 다시 한신을 삼제왕으로 책봉하고, 한신은 최후 결전으로 나아간다.

 

그럴듯한 배열이기는 하나 인과관계가 다소 명확하지 않다.

유방은 결정적 순간에 한신을 다시 불러오지도 않고 파약하고 이내 항우에게 맞붙어 깨진다. 생사를 건 싸움에서 유방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경솔함이다.

간혹 중국 장기에서는 홍구를 양 편의 경계로 삼는 것으로 보아 홍구는 초한전 내내 양 편의 경계처럼 여겨졌을 가능성이 높고, 어쩌면 둘 사이의 화약이 꼭 이 시기가 아니었을 수도 있다. 혹은 수시로 화약과 파약이 반복되었을 수도 있다.

제왕이니 삼제왕이니 하는 책봉 소동도 꼭 그때 그런 식으로 이루어졌던 사건이었을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적어도 다음과 같은 상황은 명확해 보인다.

 

(1) 한신의 제 정복으로 힘의 추가 확연히 기울었다. 그러나 최후 결전 직전까지도 크고작은 전투에서 유방이 늘 승리했던 것은 아니다. 여전히 항우의 전투력은 막강했다. 힘의 추가 기울었다고 해서 늘 유방이 승리했다면 최후의 결전도 없었을 것이다.

 

(2) 그러나 한신의 변심 가능성에 대해서는 유방이나 항우 모두 인지하고 있었을 것이다. 항우의 회유 역시 한 차례가 아니라 수시로 반복되었을 수도 있다. 사실 한신은 초하와 장량의 천거를 받은 것이고 유방에게 크게 신세진 바가 없다. 제나라 정복 역시 유방에게 주력군을 빼앗겨 가면서 자력으로 이룩한 성취였다. 장량이나 한신은 유방의 입장에서는 외국인에 가깝고, 실제로 둘다 유방의 집권 이후 친위대에 들지 못한다.

 

(3) 그럼에도 유방은 오직 승리하겠다는 명확한 목표의식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항우가 승부의 멋을 따질 때 유방은 상대와의 약속 따위는 헌신처럼 버린다. 파약이 작가가 그린 그때 그 시점에 발생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유방이 항우와의 화약 따위는 언제든 깨버리는 사람이라는 점은 모두 인정하는 사실이었던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